23일 중앙군사위 예비회의 주재 결정
대남 압박 속 17일만에 침묵 깨고 등장
직접 남북긴장 조절…숨고르기 들어간 듯
대남전단 살포·확성기재개 여부 주목
김여정 악역·김정은 착한역 분담 눈길
김정은 위원장의 등판은 지난 7일 제13차 정치국 회의 참석 이후 17일여만이다. 최근 대남압박 공세 속 대남 군사행동 이행 보류는 완전 백지화가 아닌 만큼 북한의 상황 변화에 예의주시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24일 “조선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제7기 제5차회의 예비회의가 화상회의로 6월23일 진행되었다”며 이같이 보도했다. 신문은 “김정은 동지께서 회의를 사회하시었다”면서 예비회의에는 리병철 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과 당 중앙군사위원회 일부 위원들이 참가했다고 전했다.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사진=연합뉴스). |
이어 예비회의에서는 “조선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는 조성된 최근정세를 평가하고 조선인민군 총참모부가 당중앙군사위원회 제7기 제5차회의에 제기한 대남 군사행동 계획들을 보류했다”고 전했다.
다만 신문은 김 위원장이 대남 군사행동 계획을 보류한 이유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앞서 북한은 대남사업을 대적사업으로 전환한다면서 대남 군사행동을 예고해왔다. 지난 4일 대북전단을 구실로 대남 공세를 주도해온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은 지난 13일 담화에서 다음번 대적행동의 행사권을 군 총참모부에 넘긴 뒤 군 총참모부는 △금강산 관광지구·개성공단에 부대 전개 △비무장지대(DMZ)에서 철수한 감시초소(GP) 복원 △접경지 포병부대 증강 및 군사 훈련 재개 △대남 전단(삐라) 살포 지원 등 4대 조치 실행을 시사했다.
이번 예비회의에 따라 북한의 대남 강경 군사도발은 일단 보류되고 한반도 긴장 수위도 숨고르기를 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 북한이 거의 준비를 마쳤다고 보도했던 대남 전단 살포와 대남 확성기 방송이 실제 이행할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한다는 관측이다.
이날 예비회의에서는 또 “당중앙 군사위원회 제7기 제5차회의에 상정시킬 주요 군사정책 토의안들을 심의하였으며 본회의에 제출할 보고, 결정서들과 나라의 전쟁억제력을 더욱 강화하기 위한 국가적대책들을 반영한 여러 문건들을 연구하였다”고 신문은 전했다.
북한이 당 중앙군사위 예비회의를 연 것은 김정은 집권 이래 처음이다. 북한이탈주민(탈북민) 단체의 전단 살포를 구실로 남북간 통신선 차단과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한 북한이 남북간 긴장을 조절하려는 것으로 풀이된다.
양무진 북한대학원 대학교 교수는 “연락사무소 폭파 및 대남 전단 등 대남 압박 총공세로 악화한 반북정서를 고려하고, 북한 내 주민결속도 어느 정도 효과를 봤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군사적 행동이 무력충돌로 이어지면 북한으로써도 이로을 것이 없겠단 판단으로 해석된다”며 “다만 완전 백지화가 아닌 만큼 북한의 상횡 변화에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진단했다.
김정은 위원장의 등장에 대해선 “군부의 모든 사항이 승인되지 않을 수도 있다는 당 중앙군사위의 권위를 세우는 동시에 볼턴 자서전 공개 이후 북미이슈가 부각되자 전면에 등장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특히 지난 4일부터 김정은 위원장의 여동생이자 2인자인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이 선두에서 강도 높은 대남 강경조치를 이끌었던 데서 김정은 위원장이 직접 예비회의를 통해 예고했던 군사행동계획을 보류함으로써 긴장 국면이 일시 완화되는 모습이다. 김여정 제1부부장이 악역을 맡았다면 김정은 위원장이 한반도 긴장 상태를 완화시키는 ‘착한 역할’ 분담이 눈에 띈다.
(사진=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