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물가와 GDP

한국, 작년 4분기 GDP 대비 가계 빚 증가속도 43개국 중 1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대출 규모가 크게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의 가계, 기업 등 민간부문 부채 규모가 전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국제결제은행(BIS)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우리나라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신용 비율은 95.5%로 직전분기(93.9%)보다 1.6%포인트(P) 상승했다. 이는 43개 조사 대상국 중 가장 큰 오름폭으로 홍콩이 우리나라와 같은 1.6%P를 기록했다.

지난 1년간 우리나라 GDP 대비 가계신용 비율 증가율은 3.6%P로 홍콩, 노르웨이, 중국에 이어 전 세계에서 4번째로 컸다. 작년 4분기 홍콩의 GDP 대비 가계신용 비율은 한 해 전보다 8.3%P, 노르웨이와 중국은 각각 4.6%P, 3.7%P 증가했다.

속도가 아닌 규모 자체로는 전 세계 7위를 차지했다. 작년 4분기 GDP 대비 가계신용 비율이 가장 높은 나라는 스위스(132%), 호주(119.5%), 덴마크(111.7%), 노르웨이(104.8%), 캐나다(101.3%), 네덜란드(99.8%), 한국(95.5%) 순이었다.
같은기간 가계와 기업을 합친 민간신용의 GDP 대비 비율은 197.6%로 직전분기보다 2.6%P 증가했다. 싱가포르(7.2%P), 칠레(3.1%P)에 이어 3번째로 빠른 증가 속도다. 전년동기대비 오름폭은 10%P로 홍콩(13.8%P), 칠레(11.1%P)에 이어 세번째다.

한편 올해에는 코로나 사태로 은행 대출이 크게 늘어나면서 민간신용의 GDP 대비 비율이 200%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됐다. 가계, 기업의 부채 규모가 한 해 동안 가계, 기업, 정부가 창출하는 부가가치의 2배를 넘어설 수 있다는 의미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5월 기준 주택담보대출 등을 포함한 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920조7000억으로 올해 들어 32조4000억원이 증가했다. 같은기간 기업대출 잔액은 945조1000억원으로 작년 말보다 76조2000억원 늘어났다.

권유정 기자(yoo@chosunbiz.com)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