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제주투자진흥지구 업종 확대...지역경제 활성화 기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현창민 기자(=제주)(pressianjeju@gmail.com)]
제주도는 침체된 제주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투자진흥지구 업종 다변화 및 확대 등 투자유치 활성화를 위해 사후 관리를 강화하기로 했다.

도는 제주특별자치도 설치 및 국제자유도시 조성을 위한 특별법(이하 제주특별법) 및 동법 시행령 개정안을 반영한 제주투자진흥지구 지정‧해제 및 관리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안)이 지난달 도의회 임시회에서 의결됨에 따라 오는 10일 공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프레시안

▲제주도는 투자진흥지구 업종 다변화 및 확대 등 투자유치 활성화를 위해 사후 관리를 강화하기로 했다.ⓒ제주특별자치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제주특별법 및 시행령의 주요 개정사항은 투자진흥지구 고시사항을 추가할 수 있도록 도조례에 위임하고 투자자에게 자료제출을 요구할 수 있는 근거와 이를 불응‧거부 시 과태료 부과 규정을 신설했다.

또 지정업종 조정을 통해 지역 향토자원 및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큰 산업인 화장품제조업과 마리나업을 신규 추가하고 첨단산업‧연구개발업‧식음료제조업의 분야 및 지역을 확대했다. 다만 사행산업으로 분류되는 카지노업 및 특허 혜택을 받는 보세판매장(관광호텔 등의 부대시설)과 숙박시설의 과잉공급 문제 해소를 위해 휴양콘도미니엄(전문‧종합휴양업 내 시설)은 제외했다.

특히 투자진흥지구 지정일로부터 5년 이내 투자를 이행하지 않는 경우 지정해제토록 해제 기준을 강화했다. 이는 투자진흥지구로 지정된 이후 세제감면 혜택만 누리면서 정상적으로 투자를 이행하지 않는 사업장을 퇴출시켜 조기 투자를 유도하고 투자이행이 안될 경우 지정해제 조건으로 감면 세액 전액을 추징할 수 있도록 개정했다.

한편 제주특별법령 등 개정사항을 반영한 '제주투자진흥지구 지정‧해제 및 관리에 관한 조례 일부 개정안'에는 법에서 위임된 투자진흥지구 지정 고시사항을 보다 세밀하게 확대해, 사업추진에 따른 지역경제 파급 효과 등을 도민과 함께 공유할 수 있도록 지정기준 미충족에 따른 지정해제 시 사전 회복명령의 근거를 명확하게 규정했다.

[현창민 기자(=제주)(pressianjeju@gmail.com)]

- Copyrights ©PRESSian.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