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30 (목)

재건축 초과이익 환수제 징수 본격화에 조합 '덜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데일리 박민 기자] 헌법재판소가 지난해 말 합헌 판결을 내린 ‘재건축 초과이익 환수법’에 따라 올해부터 다시 재건축 단지에 대한 초과이익 부담금 부과가 이뤄진다. 당장 서울 용산구 한남동 한남연립과 강남구 청담동 두산연립 조합원들은 그간 미뤄온 총 21억 5000여만원의 부담금을 내게 됐다.

국토교통부는 2일 재건축초과이익 환수법 시행령 및 환수업무처리지침 개정안을 3일부터 내달 12일까지 입법예고한다고 밝혔다.

개정안은 재건축 부담금의 국가 귀속분(50%)을 지자체에 배분하기 위한 기준을 정비하려는 것으로, 평가 항목을 5개에서 4개로 조정하고 주거복지 여건이 열악한 지자체에 더 지원되도록 가중치를 부과하는 내용이 담겨 있다.

국토부는 “헌재 합헌 판결에 따라 재건축 사업에 대한 초과이익 부담금 환수에 들어간다”며 “국가 귀속분의 지자체 분배를 위해 시행령과 지침을 정비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재건축 초과이익 환수제는 정부가 재건축 추진위원회 구성 시점과 입주 시점의 평균 집값 상승분에서 각종 비용을 제외한 금액이 3000만원을 초과하면 이익금액의 10~50%를 재건축 조합에서 환수하는 제도다. 국가에 50%, 해당 광역시도에 20%, 기초 지자체에 30% 귀속된다.

노무현 정부 시절인 2006년 도입된 이 제도는 의원 입법으로 2012년∼2017년 5년간 유예됐다가 2018년 1월 다시 시행됐다. 유예기간이 끝난 후 관리처분계획인가를 받은 재건축단지는 모두 부담금 부과 대상이 된다.

그 사이 한남연립 재건축조합은 2014년 9월 재건축 부담금을 부과하는 것이 사유재산권을 침해한다며 헌법소원을 청구했다. 헌재는 작년 12월 합헌 판결을 내렸다.

이에 따라 국토부는 올해 한남연립과 두산연립에 부과한 재건축 부담금을 징수할 방침이다. 한남연립은 총 17억1873만원으로 31명의 조합원에게 각각 5544만원의 부담금을 징수할 계획이다.

또 2014년 12월 부과한 부담금을 미납하고 있는 강남구 청담동 두산연립에도 총 4억3117만원, 68명의 조합원 1인당 634만원을 징수할 계획이다.

국토부에 따르면 현재 전국적으로 60여개 재건축 사업장에 총 2500억원 규모의 재건축 초과이익 부담금 예정액이 통지된 상태다.

서울에서는 서초구 반포동 반포현대아파트 재건축조합에 2018년 5월 조합원 1인당 1억3500만원의 예정액이 통지된 바 있다. 이 단지는 내년 말 준공 이후 초과이익 부담금 징수가 이뤄질 예정이다.

부담금 산정은 재건축조합이 시행자와 계약한 뒤 1개월 이내에 공사비 등 예정액 산정 관련 자료를 지자체에 제출하면 이뤄진다. 이후 재건축 사업 완료 뒤 준공일로부터 4개월 안에 실제 공사비 등 비용을 정산해 신고하면 부담금을 확정해 부과한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