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식약처, 임상시험 의료기관 확대 등 의약품 분야 적극행정 나선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의약품 허가‧임상에서 필수의약품 공급까지 각종 지원책 발표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코로나19 위기 극복의 일환으로 과감한 적극행정을 추진한다고 2일 밝혔다.

이번 조치는 환자에게 치료기회를 보장하고 제약업계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마련됐다.

먼저 국가필수의약품의 원활한 공급을 위해서는 일부 품질검사를 생략한다. 국내에 대체약이 없어 수입에만 의존하는 국가필수의약품은 국내 품질검사를 일부 생략하고, 해외 제조원의 시험성적서를 인정해 환자에게 의약품이 원활히 공급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의약품 허가 신청서류 중 코로나19로 제출하기 어려운 서류에 대해서는 공증 받아 제출해야 하는 원본서류 대신 원본과 동일함을 확인할 수 있는 전자문서를 제출할 수 있도록 한다.

또 코로나19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은 ‘임상시험실시기관’으로 지정되지 않은 의료기관이더라도 지정받은 기관의 관리‧감독 하에 임상시험에 참여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임상시험 신청자료 중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비(非)회원국에서 실시한 비임상시험자료에 대해서도 해외 실태조사를 서류평가로 대체한다.

코로나19로 인한 교육 연기‧취소로 교육을 이수하지 못한 의약품등 제조(수입)관리자 및 안전관리책임자에 대한 교육 이수 의무기한도 올해 12월까지 일괄 연장한다.

이외에도 소해면상뇌병증(Bovine Spongiform Encephalopathy, BSE) 미감염 증명서 제출 대상 의약품은 수입‧통관 시 해당 제조원 책임자의 친필 서명 자료를 공증 받아 제출해야 하나, 공증 받지 않았더라도 ’책임자가 전자 서명한 자료’를 우선 제출하고, 일정 유예기간 후 원본을 제출하도록 했다.

식약처 관계자는 “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 지원 등 직접적인 위기 극복 방안을 추진함과 동시에 앞으로도 의약품의 안전은 확보하면서도 제약업계 부담을 완화할 수 있도록 적극행정이 필요한 사항을 지속적으로 발굴해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아주경제



황재희 기자 jhhwang@ajunews.com

황재희 jhhwang@ajunews.com

- Copyright ⓒ [아주경제 ajunews.com] 무단전재 배포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