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노른자땅 헐값에 넘기라고요?'…대한항공, 자구노력 중 서울시 발표에 속앓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시, 28일 "송현동 부지, 연내 문화공원 계획" 발표

대한항공, 자구노력으로 송현동 부지 등 매각 진행 중

서울시가 매입하면 단기간 내 자본확충 어려울까 우려

뉴시스

[서울=뉴시스] 서울 송현동 부지의 모습. (사진=서울시 제공) 2020.05.28. photo@newsis.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시스] 고은결 기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발 위기 극복 중인 대한항공이 송현동 부지를 사겠다는 서울시의 발표에 난감해졌다. 대한항공은 자구 노력 차원에서 송현동 부지 등 유휴자산 매각에 속도를 내고 있는데, 서울시가 매입에 나설 움직임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아무래도 서울시가 이 부지를 매입하면 부동산 단가 등을 고려할 때 대한항공은 일반 기업 등 민간에게 넘기는 것 보다 적은 금액을 손에 쥘 수밖에 없다. 단기간 내 자본 확충을 해야하는 대한항공 입장에서는 서울시 계획이 반가울 리 없다.

서울시는 28일 보도자료를 통해 전날 제7차 도시·건축공동위원회를 개최해 송현동 대한항공 부지 공원 결정(안) 자문을 상정한 결과, 공원 조성 찬성 입장을 받았다고 밝혔다.그러면서 위원회 자문의견을 반영해 6월 중 열람공고 등 관련절차를 추진하고 올해 안에 문화공원으로 결정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앞서 시는 대한항공 소유의 종로구 송현동 부지(3만7000㎡)를 매입해 공원 조성을 추진한다고 밝혔다.송현동 부지는 경복궁 동쪽에 위치해 있으며 인사동, 광화문광장 등과 인접해 서울 도심의 '금싸라기 땅'으로 여겨진다.

해당 부지는 일본과 미국이 차례로 소유권을 보유한 뒤 1997년에서야 우리나라로 반환됐다.대한항공은 한옥호텔 사업 등을 추진하기 위해 인수했지만 모두 무산됐고, 최근 재무구조 개선 작업의 일환으로 부지 매각을 검토하고 나섰다.

이 가운데 서울시가 송현동 부지 매입을 추진하면서 대한항공은 당혹스러움을 숨기지 못하고 있다.

대한항공은 최근 국책은행으로부터 1조2000억원의 자금을 수혈받고, 특별약정을 통해 자본 확충에 속도를 내고 있다. 특히 재무 건전성을 높이기 위해 송현동 부지 등 유휴자산 매각을 이사회 의결을 통해 진행 중이다.지난 4월에는 '삼정KPMG-삼성증권' 컨소시엄을 그룹 유휴자산 매각 주관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하고 본격적인 매각 절차에 돌입했다.

이처럼 매각이 진행 중인 상황에서 서울시가 송현동 부지 내 공원 조성 계획을 발표하자, 제3자의 송현동 매입 가능성을 막는 것과 다름없다는 불만이 터져 나온다. 앞서 대한항공은 유휴자산 매각은 이사회 의결 절차가 필요한 사안으로, 적정가격을 받지 못할 경우 배임에 해당될 수 있다는 입장을 내놓기도 했다.

서울시가 송현동 부지를 매입할 시 대금 납부 기한이 늦어지고, 가격이 낮아질 수 있단 관측도 이어진다.업계 관계자는 "서울시는 자체감정평가, 예산확보 등 대금 납부 기한이 최소 2년가량 소요된다고 밝힌 바 있다"라며 "또한 시장 가격이 5000억~6000억원에 달하지만, 서울시는 절반 이하 수준을 예산으로 생각하고 있다는데 대한항공 입장에서는 단기간 내 자본 확충이 어려워질 수 있는 셈"이라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keg@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