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6 (화)

이슈 통화·외환시장 이모저모

한은 “경제 성장 부진"···기준금리 0.50%로 인하(종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금통위 28일 통화정책회의서 결정

"대외여건·실물경기·물가 등 고려"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국은행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영향으로 국내 경제 성장세가 부진할 것으로 예상하면서 기준금리를 사상 최저인 0.50%로 낮췄다. 수요 측면에서 물가상승압력도 낮은 수준에 머무를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통화정책의 완화기조를 유지한다는 방침이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28일 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현재 0.75%에서 0.50%로 하향 조정해 통화정책을 운용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지난 3월 임시 금통위에서 기준금리를 1.25%에서 0.75%로 0.5%포인트 낮춘데 이어 2개월 만에 0.25%포인트를 추가 인하한 것이다.

한은은 대외경제 여건, 실물경기, 물가, 금융시장 등을 고려해 금리인하를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코로나19 확산으로 경제활동이 제약되면서 미국, 유로화지역, 중국 등 세계 각국의 경제가 위축됐다는 판단이다. 국내 실물경제 성장세도 크게 둔화될 것으로 봤다. 한은은 이날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1%에서 -0.2%로 대폭 낮추며 마이너스 성장을 예고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0%대 초반으로 하락한 점도 고려했다. 국제유가 하락, 수요 측면에서 상승압력 약화 등으로 올해 물가상승률을 0.3%로 예상했다.

다음은 통화정책방향 결정문 전문이다.

금융통화위원회는 다음 통화정책방향 결정시까지 한국은행 기준금리를 현재의 0.75%에서 0.50%로 하향 조정하여 통화정책을 운용하기로 하였다.

세계경제는 코로나19 확산의 영향으로 경제활동이 제약되면서 크게 위 축되었다. 국제금융시장에서는 주요국의 적극적인 통화·재정정책, 경제 활동 재개 기대 등으로 주요국 주가가 상승하고 국채금리와 환율의 변동성이 축소되는 등 불안심리가 상당폭 완화되었다. 앞으로 세계경제와 국제금융시장은 코로나19의 전개 상황, 각국 정책대응의 파급효과 등에 영향받을 것으로 보인다.

국내경제는 성장세가 크게 둔화되었다. 소비가 부진한 흐름을 지속하고 수출도 큰 폭 감소한 가운데 설비투자 회복이 제약되고 건설투자 조정이 이어졌다. 고용 상황은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취업자수 감소폭이 크게 확대되는 등 악화되었다. 앞으로 국내경제는 코로나19 확산의 영향으로 당분간 부진한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금년중 GDP성장률은 지난 2월 전망치(2.1%)를 큰 폭 하회하는 0% 내외 수준으로 예상되며, 성장 전망경로의 불확실성도 매우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석유류 및 공공서비스 가격 하락, 농축수산물 가격의 상승폭 축소 등으로 0%대 초반으로 크게 낮아졌다. 근원인플레이션율(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도 0%대 초반으로 하락하였으며, 일반인 기대인플레이션율은 1%대 중반으로 소폭 하락하였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국제유가 하락 영향, 수요측면에서의 상승압력 약화 등으로 금년중 0%대초반을, 근원인플레이션율은 0%대 중반을 나타낼 것으로 예상된다.

금융시장에서는 국제금융시장 안정, 적극적인 시장안정화 조치 등으로 가격변수의 변동성이 축소되었다. 장기시장금리가 하락한 가운데 주가는 상승하였으며, 원/달러 환율은 좁은 범위에서 등락하였다. 가계대출은 증가규모가 축소되었으며 주택가격도 오름세가 둔화되었다.

금융통화위원회는 앞으로 성장세 회복을 지원하고 중기적 시계에서 물가상승률이 목표수준에서 안정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금융안정에 유의하여 통화정책을 운용해 나갈 것이다. 코로나19 확산의 영향으로 국내경제의 성장세가 부진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수요측면에서의 물가상승압력도 낮은 수준에 머무를 것으로 전망되므로 통화정책의 완화기조를 유지해 나갈 것이다. 이 과정에서 코로나19의 전개 상황과 국내외 금융·경제에 미치는 영향, 금융안정 상황의 변화 등을 면밀히 점검할 것이다.
/조지원기자 jw@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