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6 (화)

이슈 5·18 민주화 운동 진상 규명

"이제는 새로운 5·18을 구상할 때"…5·18 집중 토론회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7일 5·18 40년 이후의 기념과 계승을 위한 집중토론회 개최

광주CBS 김한영 기자

노컷뉴스

27일 광주 동구 전일빌딩에서 열린 5·18 40년 이후의 기념과 계승을 위한 집중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이 5·18 의미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사진=김한영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5·18민주화운동 40주년을 맞아 5·18의 전국화 또는 세계화라는 명제가 지금 어디쯤 와 있는지 살펴봐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5·18민중항쟁기념행사위원회는 27일 오후 2시 광주 동구 전일빌딩245 다목적강당에서 '5·18 40년 이후의 기념과 계승을 위한 집중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토론회에서 서울대 사회학과 정근식 교수는 "광주가 가진 위상과 역할을 새로운 환경에 맞춰 재정립하는 토론장이 제도화될 필요가 있다"며 "지난 시간들은 냉철하게 평가하고 새로운 5·18을 구상해야 하는 시기가 찾아왔다"고 주장했다.

정 교수는 5·18의 전국화의 흐름은 진상규명 요구를 중심으로 하는 '6월항쟁'과 책임자 처벌을 중심으로 하는 1995년 '5·18 특별법 제정', '촛불혁명' 등 세 가지로 나뉘어 있다고 설명했다.

정 교수는 "지난 40년간의 5·18의 전국화는 순조롭게 진행되기 보다는 수 차례의 좌절과 장애를 거치면서 진행됐다"며 "1990년 광주보상법, 1995년 5·18 특별법 제정, 1997년 국가기념일 지정 등이 전국화의 성과라고 설명했다.

이어 5·18 전국화는 1980년에도 존재했지만 1990년 초반부터 본격적으로 진행돼 2001년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가 출범하면서 민주화운동단체들간의 연대 형식으로 발전했다"고 덧붙였다.

정 교수는 ·518 의 세계화에 대한 입장도 밝혔다.

정 교수는 "엄밀하게 말하면 5·18의 세계화는 항쟁 당시부터 시작했다"며 "항쟁 당시 외신을 통해 알려진 것이 첫 걸음이라고 말했다.

정 교수는 "이제는 40년이라는 시간 속에서 살아남은 자들의 5·18의 기억보다는 새롭게 직면하는 청년 세대의 5·18 기억이 더 중요하다"며 "살아남은 자들이 젊은이들의 부름에 어떻게 응답을 하는 지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토론회에는 5·18민중항쟁기념행사위원회 조진태 집행위원장과 서울대 정근식 교수, 광주시민단체협회의회 박재만 상임대표 등이 발제 및 토론자로 참석했다.

저작권자 © CBS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