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12 (일)

中, 1000조 규모 ‘코로나 뉴딜’… 성장률 목표는 제시 못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리커창, 전인대 개막 업무보고 / 첫 경기부양책으로 ‘경제 올인’ / 특별국채·특수목적 채권 찍고 / 일자리 900만개 창출 등 제시 / 국방비 증가폭 줄었지만 6.6%↑ / 美 전방위 압박 대응 차원 분석

중국이 22일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개막식에서 경제성장률 목표치를 제시하지 않은 채 최소 1000조원 규모의 경기부양책을 내놓고 ‘경제 살리기’ 올인 정책을 천명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충격에 따른 위기의 중국 경제와 공산당 지도부의 불안감을 반영하고 있다.

중국 정부는 그러면서도 올해 국방비는 전년도 7.5%보다 증가폭이 소폭 줄어든 6.6%를 제시했다. 가중되는 미국의 전방위 압박에 대응해 무엇보다 국방력 강화가 필요하다는 전략적 판단으로 보인다. 홍콩 보안법 제정 및 대만 독립 반대를 재강조한 것도 미국의 압박에 물러서지 않겠다는 중국 의지를 재확인한 것이다.

세계일보

리커창(李克强·사진) 총리는 이날 전인대 개막식 업무보고에서 “올해는 경제성장률 목표 수치를 제시하지 않았다”며 “코로나19 여파와 세계 경제 및 무역 환경 불확실성으로 성장률을 예측하기 힘들어서”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성장을 포기한 것이 아니라, 질적 경제성장에 초점을 두기 위해서”라고 설명했다.

중국의 지난 1분기 성장률은 -6.8%로 문화대혁명 마지막 해인 1976년 이후 처음 마이너스 성장을 경험했다. 국제통화기금(IMF)도 올해 중국 성장률이 1.2%에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 낮은 수치를 제시해 불안감을 고조시키는 것보다는 목표치를 제시하지 않는 것이 오히려 경제 회복에 도움이 된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세계일보

리커창 중국 총리가 22일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전국인민대표회의 개막식에서 연설하고 있다. 이날 이례적으로 경제성장률 목표를 제시하지 못한 중국은 코로나19로 인한 경제 충격을 극복하기 위해 고강도 경기 부양 패키지 가동에 들어간다고 밝혔다.베이징=AFP연합뉴스


대신 중국 정부는 대대적인 경기부양책을 내놓았다. 특별국채 발행, 재정적자 확대, 특수목적채권 발행 등을 고려할 때 경기부양용 재원만 최소 5조7500억위안(약 996조원)에 달할 전망이다. 6000억위안의 별도 중앙정부 투자 예산을 합치면 총투자 재원은 6조위안을 넘어서게 된다.

세계일보

중국 은행 창구에 쌓인 위안화 지폐. EPA연합뉴스


리 총리는 올해 재정적자 목표치를 국내총생산(GDP)의 3.6% 이상으로 높이기로 했다. 적극적인 재정정책을 통해 중국 경제를 회복시키겠다는 의미다. 이른바 ‘코로나 뉴딜’을 본격화하는 것이다. 중국 정부는 이를 위해 사상 처음으로 경기부양용 특별국채를 대량 발행하기로 했다.

특히 도시 실업률을 6% 안팎으로 설정하고, 일자리 900만개 창출을 제시했다. 이미 올해 말까지 중국 내 실업률이 9%까지 치솟을 것이라는 우울한 전망이 나오고 있다. 또 870만명의 올해 대졸 예정자가 취업시장에 쏟아져 나올 것으로 예상되면서 ‘일자리 만들기’에 비상이 걸렸다. 경제 위축에 따른 실업률 증가는 사회 불안을 가중시켜 중국 정부 권력 기반을 흔드는 변수가 될 수 있다. 리 총리가 이날 일자리 900만개 창출을 거듭 강조한 것은 이런 위기상황을 의식한 것이다.

세계일보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제13기 13차 회의가 22일 오전 베이징 인민대회당 만인대회당에서 개막한 가운데 시진핑 중국 구가주석이 정부 업무보고를 보고 있다. 베이징=연합뉴스


중국 정부는 그러나 불확실한 대내외적 경제상황에서도 국방예산을 전년도 대비 6.6%까지 증액해 1조2680억500만위안(약 216조6000억원)으로 결정했다. 지난해 국방예산 증가율 7.5%보다 소폭 감소했지만 예산 절대 규모는 2011년에 비해 2배 이상으로 증가했고, 2017년 이후 4년 연속 1조위안을 넘어섰다. 미·중 무역전쟁에 이어 코로나19 책임론 갈등 및 남중국해와 대만해협 등에서 군사적 긴장이 고조되고 있는 상황을 반영한 것이다.

특히 홍콩 국가보안법 제정 강행 등 핵심 이익에 대한 중국 정부 입장을 재확인한 만큼 군비 확충을 통한 경고가 필요한 상황이다. 국부 내에서는 전년 대비 약 9%까지 군비 증가를 요구했다.

베이징=이우승 특파원 wslee@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