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8 (목)

이슈 '위안부 문제' 끝나지 않은 전쟁

위기 맞은 수요집회…기로에 선 위안부 운동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대표적 위안부 운동 단체 정의연·나눔의집

후원금 운용 문제 두고 각종 의혹 제기

정작 '피해자' 없었던 위안부 운동

운동 떠받치던 '시민 신뢰 훼손' 문제 가장 커

아시아경제

지난 13일 서울 종로구 옛 일본대사관 앞 평화로에서 열린 제1439차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기 수요시위에 평화의 소녀상이 자리를 지키고 있다. /문호남 기자 munona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정동훈 기자] 30년 '일본군 위안부 인권운동(위안부 운동)'이 기로에 섰다. 이 운동을 주도하던 정의기억연대가 후원금 운용과 안성쉼터(평화와 치유가 만나는 집) 조성 과정에서 여러 의혹과 문제를 드러내면서다. 피해자 할머니들의 쉼터 역할을 한 '나눔의집' 또한 후원금을 할머니들을 위해 쓰기보다 부동산 매입과 현금 보유 등에 활용했다는 의혹에 휩싸였다. 위안부 운동의 불씨를 지피고 태워온 주체가 심한 사회적 타격을 입음에 따라, 향후 수요집회 등 관련 운동의 동력도 약해질 것이란 우려가 많다.


20일 오전 안신권 나눔의집 소장은 기자와 통화에서 "책임자로서 국민들에게 죄송하다"며 "(나눔의집) 후원자와 봉사자들이 오해하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어 "후원금에 대한 (외부) 감사를 받겠다. 직원들 주장대로 (후원금을) 다른 사업에 활용하는 방안이 결정된 건 아니다. 원한다면 기념추모사업에 쓰겠다"고 말했다.


안 소장은 지난해 후원금으로 적립된 25억원 중에서 시설 전출 금액이 6400만원 정도로 적은 이유에 대해 "현재 나눔의집에 있는 할머니는 총 6명으로, 1명은 병원에 입원해 계신다"면서 "시설 인원이 적어 운영비가 많이 필요하지 않았다"고 해명했다. 이어 "의료비 같은 경우 할머니들은 무료다. 여성가족부로부터 지원 사업을 받는다. 부족한 부분은 나눔의집 후원금을 활용하고 있다"고 했다.


전날 김대월 나눔의집 학예실장 등 직원 7명은 "나눔의집이 거액의 후원금을 할머니들에게 사용하지 않고 부동산ㆍ현금자산으로 보유하면서 할머니들의 병원 치료비, 물품 구입 등을 모두 할머니들 개인 비용으로 지출하도록 했다"고 내부 고발했다. 나눔의집은 정의연과 함께 대표적인 위안부 피해자 지원 단체다. 이 직원들에 따르면 나눔의집을 운영하는 '사회복지법인 대한불교조계종 나눔의집'은 60억원이 넘는 부동산과 70억원이 넘는 현금자산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직원들은 이사회 녹취록 등을 근거로, 적립한 후원금(지난해 말 기준 65억원)이 할머니들 사후에 노인요양사업에 쓰일 가능성이 크다고 우려했다.

아시아경제

19일 후원금 집행 문제에 대한 내부 고발이 나온 경기도 광주시 나눔의 집에 돌아가신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의 흉상이 세워져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앞으로 위안부 운동 단체들은 철저한 수사와 행정기관의 감사를 받게 될 것으로 보인다. 서울서부지검이 배임ㆍ횡령 등의 혐으로 윤미향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당선자(전 정의연 이사장)와 정의연에 대한 수사에 착수했고, 경기도는 13∼15일 나눔의집 법인에 대한 특별지도점검을 한 뒤 분석작업을 벌이고 있다.


이날 서울 종로구 관철동에서는 1440번째 수요시위가 열렸지만 예전 같은 시민의 호응은 더이상 기대하기 어려워졌다. 일본을 향한 사죄 요구도 그 강도가 약해질 것이 불가피해 보인다. 전시 성폭력 문제와 인권 회복을 위해 30년을 이어온 운동의 지속을 위해 윤 전 당선인과 정의연, 나눔의집 등 책임있는 당사자들의 결단이 필요한 시점이란 지적이 나온다.


이 같은 위안부 운동의 위기는 결국 운동 진행 과정에서 '피해자' 중심의 접근이 소홀히 다뤄져왔기 때문으로 보인다. 무엇보다 치명적인 것은 시민들의 실망이다. 수요시위를 지킨 학생들, '할머니들을 위해 써달라'며 기부금을 내고 굿즈를 구입해 위안부 운동을 여태껏 지켜낸 것은 시민이었다. 양기호 성공회대 일본학과 교수는 "시민단체의 운동 방향성이 맞다고 해서 회계 문제나 부정 등이 정당화될 수는 없다"며 "위안부 운동이 시민들을 신뢰를 회복할 수 있도록 환골탈태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동훈 기자 hoon2@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