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전북 부창대교 관광형 교량 추진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반대 입장 표명했던 부안군, 예타 수행기관에 건의

부안군 "낙조 감상 등 관광명소로 경제성 높아"

전북CBS 최명국 기자

노컷뉴스

부창대교 건설 구간(사진=자료사진)


전북 부안과 고창을 잇는 이른바 '부창대교' 건설 사업이 재추진되는 가운데, 그동안 반대 입장을 표명했던 부안군이 서해 낙조를 감상할 수 있는 관광형 교량으로 추진할 것을 요구해 눈길을 끌고 있다.

부안군에 따르면 최근 제5차 국도·국지도건설 5개년 계획(안) 일괄예비타당성조사 연구용역을 수행하는 한국개발연구원(KDI)이 부창대교 사업과 관련해 부안군에서 현장조사를 벌였다.

이날 현장조사는 국토교통부의 부창대교 사업계획을 토대로 수요·비용 추정, 경제성 분석, 기술적 검토, 도로안전성과 해당 자치단체의 추진 의지를 점검하는 자리다.

예비타당성조사 연구용역은 올 연말까지 진행된다.

현장조사에서 권익현 부안군수는 "부창대교는 서해의 손꼽히는 비경인 낙조를 감상할 수 있는 관광명소로서 경제성이 높다. 지역균형발전 측면에서도 정부 계획에 포함돼야 한다"고 밝혔다.

부창대교는 고창군 해리면 왕촌리~부안군 변산면 도청리를 잇는 길이 7.48㎞구간으로 총 공사비 7천900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추정된다.

완공 땐 62.5㎞를 우회해야 했던 이동 거리가 7㎞로 줄고 통행시간도 50분 단축될 것으로 예상된다.

해마다 100억원 가까운 차량 운행 비용을 절감하고 부안 변산국립공원과 고창 선운산지구를 잇는 서해안권 관광벨트가 형성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는 대형 국책사업이다.

앞서 부창대교 건설 사업은 지난 2005년 기본설계용역 실시를 시작으로 2012년 대통령선거 당시 박근혜 전 대통령의 지역공약사업에 선정되기도 했다. 하지만 2016년 예비타당성 조사 결과 경제성 부족으로 보류됐다.

부안군 관계자는 "부창대교는 미국의 금문교나 전남 신안의 천사대교와 같이 단순한 통행로를 넘어 관광객을 끌어들일 수 있는 관광형 교량으로 추진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낙후지역을 배려하는 국가균형발전 측면에서도 반드시 정부의 제5차 국도·국지도건설 5개년 계획에 반영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해 전북환경운동연합은 지난 18일 성명을 통해 "부창대교가 지나게 될 고창·부안 갯벌은 유일하게 남은 연안습지로"라며 "교량 건설로 갯벌 훼손, 수산업 피해 등이 우려된다"고 반대 입장을 표명했다.

저작권자 © CBS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