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국민 절반 코로나19 우울감 호소… ‘멘탈데믹 대비해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기연구원, 설문조사… 국민 47.5% '우울하다'

직업·지역별로 전업주부 60% 가장 높아

아시아투데이

수원/아시아투데이 김주홍 기자 = 코로나19 장기화로 우리 국민 47.5%는 불안 우울감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미 ‘코로나 블루’라는 신조어까지 등장할 정도로 개개인의 정신건강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진단이다.

경기연구원은 지난달 전국 17곳 광역시·도 15세 이상 1500명을 대상으로 ‘코로나19로 인한 국민 정신건강 설문조사’(신뢰수준 95%, 표본오차 ±2.53%)를 한 결과, 코로나19로 인해 ‘다소’ 불안하거나 우울하다고 응답한 비율은 45.7%에 달했다고 19일 밝혔다.

‘매우 심하게’ 느끼는 비율은 1.8%로 나타나 전체적으로 절반 가까운 국민이 불안감이나 우울감을 호소했다.

연령대가 증가할수록 비율은 높아져 50대 52.2%, 30대 46.5%, 10대 40.0%가 불안 우울하다고 응답했다. 직업별로는 전업주부가 59.9%로 가장 높았고, 자영업자(54.3%), 계약직 근로자(53.4%), 중고등학생(46.8%), 무직자(46.7%)가 뒤를 이었다.

대구시민의 불안 우울감은 전국 평균보다 약 20% 높은 65.3%로 나타났다. 부산은 55.4%, 대전은 54.5%이었으며 경기도는 47.6%로 평균 수준이다. 국민 20.2%는 코로나19로 수면장애를 경험한다고 말했으며, 대구시민은 그 비율이 30.6%에 달했다.

코로나19가 안겨준 스트레스는 메르스의 1.5배, 경주 포항 지진의 1.4배, 중증질환의 1.3배, 세월호 참사의 1.1배 등 타 재난과 비교해 높은 수준이며,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는 정도는 5점 척도 기준 4.1점으로 나타나 메르스(2.8점), 경주 포항 지진(2.8점)보다 높은 수준임을 알 수 있다.

국민 대부분은 확진자에 대해 위로와 동정을 느끼고 있으며(67.3%), 분노 원망은 16.2%, 무감정은 16.5%로 나타났다.

언론에서 코로나19에 대한 소식을 접할 때면 ‘특정 개인 단체의 일탈행동에 대한 원망’이 22.7%에 달했으며, 코로나19가 지속될 것이라는 절망감은 16.3%로 나타났다. 반면, 일선 의료인력에 대한 응원(19.2%), 정부와 방역정책 응원(12.3%) 등 긍정적인 답변도 비교적 높았다.

응답자 절반(49.6%)은 코로나19로 인한 심리적 고통을 완화하기 위해 심리정신 지원 서비스가 필요하다고 응답했으며, 이는 30대(53.8%)에서 가장 높았다.

이은환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코로나19는 사회경제적 손실과 경제위기 못지않게 국민 정신건강에도 상당한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국민 트라우마 확산, 즉 멘탈데믹에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연구위원은 코로나19로 인한 국민들의 심리정신적 트라우마를 회복하기 위해 계층 대상별 국민 맞춤형 심리정신 회복지원 프로그램 도입, 포스트·코로나 자살증가 예방전략 수립 및 심리백신 프로그램 도입, 국공립 의료기관의 감염병·정신응급 대응체계 구축을 제안했다.

이어 “경기도는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도민 힐링프로그램을 개발 보급하고, 계층 대상자별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 "젊은 파워, 모바일 넘버원 아시아투데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