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29 (수)

점점 커지는 불신..."향후 기부할 의향 없다" 6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정경훈 기자] [편집자주] 우리 사회의 성역 가운데 하나였던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을 돕는 역할을 해왔던 '정의기억연대(정의연)'가 각종 의혹에 휩싸였다. 정의연 문제는 한일 관계, 역사 인식 등과 맞물리는 진영간 이슈이기도 하지만 그동안 꾸준히 지적돼온 시민단체들의 불투명한 운영 실태를 적나라하게 보여준 사례기도 하다. 정의연 사태를 계기로 시민단체들의 불투명한 운영 실태, 심각성, 개선점 등을 살펴봤다.

[MT리포트-기부자는 알 권리가 있다]③

머니투데이

2011~2019년 통계청 사회조사 결과에 따른 '최근 1년간 기부했다'는 사람 비율. /사진=머니투데이




기부로 운영되는 비영리단체(NPO)들에게 '운영의 투명성'이 중요한 이유는 기부자들의 기부 의지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시민단체들에 대한 불신이 가중되면서 '기부(모금) 단체를 못믿어 기부 안했다'는 사람들 비중이 계속 늘어나는 추세다.

15일 통계청 사회조사 결과에 따르면 기부 참여율은 지난 10년간 꾸준히 내리막이었다. '지난 1년 간 기부 경험이 있는 사람' 비율은 2011년 36.4%, 2013년 34.6%, 2015년 29.9%, 2017년 26.7%, 2019년 25.6%로 내리막을 걸었다. '현금 기부 비율'도 2013년 32.5%에서 2015년 27.4%, 2017년 24.3%, 2019년 24%로 감소했다.

'경제적 여유 부족'이 기부를 막는 가장 큰 이유다. 개인과 법인의 경제적 여유와 안정성이 확보될수록 기부 참여도가 높았다. 2017년 기준 개인 참여율은 전문관리직(44.8%), 사무직(41.8%), 서비스판매직(27.7%), 기능노무직(23.4%) 순이었다.

기업 규모에 따라 평균 기부액 차이도 컸다. 보건복지부가 내놓은 나눔실태에 따르면 2017년 법인의 경우 비상장법인 69만3459개의 평균 기부액은 360만원이었다. 1986개 상장법인의 법인당 평균기부액은 10억7472만원으로 298.5배 높았다. 개인·법인의 기부 상황을 종합하면 대기업·상위층의 대형 기부에 의존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머니투데이

2011~2019년 통계청 조사에 따른 '기부 단체 신뢰할 수 없어' 기부 안했다는 사람 비율 /사진=머니투데이



하지만 기부 경험이 없는 사람 중 경제적 여유가 부족해 기부를 하지 못했다고 답한 비율도 매년 줄고 있다. 2011년 62.6%에서 2013년 60.9%, 2017년 57.3%, 2019년 51.9%다.

대신 '모금 단체에 대한 신뢰' 문제로 지난 1년 간 기부를 하지 않는다는 사람 비율은 최근 크게 늘어났다. 통계청 조사 결과 2017년에는 기부 경험 없는 사람 중 8.9%가 이 이유를 꼽았으나 2019년 이 비율은 14.9%로 증가한다. 여전히 경제적인 이유가 기부를 하지 않는 가장 큰 요인이지만 단체에 대한 불신 비중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는 얘기다.

복지부의 나눔실태 조사에서도 이런 흐름을 확인할 수 있다. 2016년 기부 문화 확산을 위해 정부가 해야 할 일 중 1위는 '단체의 투명성 및 신뢰성 강화'(35.3%)였다. 2019년에도 기부 경험이 있는 사람 중 82.8%가 기부 문화 활성화를 위해 '기부 단체의 정보 공개'가 매우 중요하다고 응답했다. 기부 경험이 없는 경우에도 같은 질문에 74.7%가 매우 중요하다고 답했다.

이런저런 이유로 시민들의 기부 의향은 갈수록 줄어들고 있다. 통계청 집계 결과 응답자 중 향후 기부 의향이 없다는 비율은 2011년 54.2%에서 2013년 51.6%로 약간 줄었지만 2015년에 54.8%, 2017년 58.8%으로 다시 증가했다. 2019년에는 60.1%까지 올랐다.

황신애 한국모금가협회 상임이사는 "경제적 요인이 기부 감소의 가장 큰 이유지만 '불신'도 한몫했다"며 "지금 젊은 세대는 과거보다 공정성에 민감하기도 해서 NPO 등 모금 단체들이 '운영 지침' 강화 등 방법으로 투명성 이슈를 정면 돌파해야 한다"고 밝혔다.

정경훈 기자 straight@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