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이슈 화웨이와 국제사회

美, 화웨이 고사작전…반도체 조달길 봉쇄 조치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상무부, 화웨이로 반도체 납품제한 확대... 외국 기업도 대상

중국측, 보잉 항공기 구매 보류...코로나사태로 확전 불가피

워싱턴=CBS노컷뉴스 권민철 특파원

노컷뉴스

사진=화웨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미국이 중국의 대표적인 IT 기업인 화웨이를 겨냥한 압박 정책을 추가로 내놨다.

미국 상무부는 15일(현지시간) 화웨이가 미국 기술을 이용해 만든 반도체를 조달하지 못하도록 관련 규정을 개정하겠다고 밝혔다.

미국은 그동안 미국에서 생산된 반도체를 화웨이로 수출하지 못하도록 규제했다.

그러나 앞으로는 미국의 기술을 활용하는 해외 기업도 화웨이에 특정 반도체를 공급하려면 미국의 허가를 받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또 화웨이 역시 미국의 기술이 접목된 반도체를 구입하거나 반도체를 설계할 때 미 정부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윌버 로스 상무장관은 이날 원격 회견에서 "미국 기술이 미국의 국가안보와 외교정책 이익에 반하도록 작용하지 못하게 할 것"이라며 배경을 설명했다.

이날 상무부 발표에 대해 중국은 맞불 작전으로 나왔다.

중국 공산당이 운영하는 영자신문 '글로벌타임스' 후 시진 편집장은 트위터에 "미국이 화웨이에 핵심 기술 공급을 더 차단하면 '신뢰할 수 없는 기업 명단'을 활성화하고, 퀄컴 시스코 애플 등 미국 기업을 규제 또는 조사하고 보잉사 항공기 구매를 유보하겠다"고 밝혔다.

'신뢰할 수 없는 기업 명단(unreliable entity list)'이란 중국이 미국의 '기업 블랙리스트'를 벤치마킹해 만들려다 보류한 것이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는 작년 5월 중국 당국이 화웨이 장비를 스파이 행위에 활용할 수 있다며 화웨이를 '기업 블랙리스트'에 올리고 미국 기업과의 거래를 제한해 왔다.

미국은 화웨이 외에 중국기업들의 미국내 기업활동을 견제해왔다.

화웨이를 비롯한 중국 통신장비의 미국 내 판매를 '봉쇄'하는 행정명령을 지난해 발동한데 이어 지난 13일 이를 1년 더 연장했다.

미국 연방통신위원회(FCC)는 지난달 국가 안보를 언급하며 중국 국영 통신회사 3곳의 미국 영업을 정지하는 절차에 들어갔다.

또 구글이 요청한 미국과 대만 간 8천마일의 해저 케이블 활용을 승인했지만 홍콩에 대해서는 국가 안보 우려를 제기하며 승인하지 않았다.

특히 세계 최대 반도체 위탁생산 업체인 대만의 TSMC 공장을 미국 애리조나에 유치하는데 성공했다.

TSMC의 미국 유치는 이 회사의 주요 고객인 화웨이에 대한 간접 견제와 미국내 반도체 자급을 위한 것으로 알려졌다.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도 TSMC 미국 유치를 '게임 체인저', '역사적 거래'라며 대대적으로 환영했다.

미국의 이번 화웨이 봉쇄 조치는 트럼프 대통령이 코로나사태에 대한 중국 책임론을 강조하고 있는 와중에 나온 것으로 미국과 중국간 전면전의 신호탄으로도 해석된다.

저작권자 © CBS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