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이슈 로봇이 온다

KB국민은행, 업무로봇자동화 구현…업무시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183개 업무 자동화, 총 125만시간 축소

[이데일리 김유성 기자] KB국민은행은 업무 효율성 개선과 핵심업무 집중을 위해 은행내 183개업무에 ‘로보틱 프로세스 자동화(RPA:Robotic Process Automation)’를 통한 업무 자동화를 구현했다고 11일 밝혔다.

국민은행은 자동화된 183개 업무를 연간 업무시간으로 환산하면 총 125만 시간이 축소된다고 진단했다. 이는 직원 1명당 평균 2000시간의 연간 근로시간을 가정했을 경우 600명 이상이 투입되는 단순 반복 업무를 로봇 소프트웨어를 통해 자동화했다는 의미이다.

이데일리

국민은행에 따르면 본부부서는 약 47만 시간, 영업점은 약 78만시간의 업무량이 경감된다. 본부부서 직원은 핵심 업무에 보다 집중해 효율성과 생산성이 개선될 전망이다. 영업점에서는 단순 업무 시간이 절약되어 고객 상담 시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규칙기반의 단순 반복 업무에만 적용되는 RPA의 제약을 넘어 인공지능 기술도 결합했다.

일례로 기계 학습(Machine Learning) 기술이 적용된 ‘급여이체 등록 RPA 업무’는 고객으로부터 제공 받는 다양한 형태의 급여이체 서식을 자동으로 내부 시스템에 맞게 편집해 등록할 수 있다. 직원은 내용 검증과 최종 이체 거래만 수행하는 형태이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RPA를 통해 직원의 워라밸과 조직 전체의 업무 효율화를 촉진하고 질적 생산성을 향상시켜 업무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이는 결국 고객에게 수준 높은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기여할 것이며, 앞으로 RPA를 포함해 지속적으로 업무 혁신사업을 확대해 금융환경 변화에 선제적 대응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국민은행은 오는 11일부터 영상통화를 활용해 비대면으로 특정금전신탁 가입을 받는다.

기존 특정금전신탁 가입은 영업점에서만 가능했다. 지난 3월 금융위원회는 현장 혁신형 자산운용산업 규제 개선의 일환으로 올해 4월 1일부터 영상통화를 활용한 제한적 신규를 허용했다.

이에 KB국민은행은 영상통화를 통한 비대면 특정금전신탁 가입이 가능하도록 ‘신탁 비대면 센터’를 설립했다.

고객은 센터 내 전문 상담원으로부터 해당 상품에 대한 설명을 듣고 신탁상품을 가입할 수 있다. 이용시간은 은행 영업일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 30분까지이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