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이슈 세계 금리 흐름

한은 금통위, 이달 기준금리 추가 인하할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시아경제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김은별 기자]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오는 28일 통화정책 결정회의를 열 예정인 가운데 현재 연 0.75%인 기준금리를 추가로 내릴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한은은 지난 3월 기준금리를 대폭 하향해 역대 최저 수준으로 낮춘 바 있다.


금융시장에서는 한은이 이번 회의에서 금리를 0.25%포인트 추가 인하해 연 0.5%까지 내릴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이 나오지만, 이달 금리인하는 어렵다는 데 무게가 더 실린다. 이미 금리가 최저 수준으로 하향 조정된 만큼 실탄을 아껴 3분기 이후에나 인하할 것이라는 예상도 나온다.


글로벌 투자은행(IB) JP모건은 한은이 내년 1분기까지 기준금리를 2차례에 걸쳐 총 0.5%포인트 내릴 것이라고 전망했다.


JP모건은 "한은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올해 3분기에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한 후 내년 1분기에 또 한차례 0.25%포인트 인하할 것으로 보인다"고 추정했다


이어 "한은의 정책 초점은 실효하한 이상으로 기준금리를 유지하면서 완충장치를 두는 것보다 디플레이션 우려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기울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했다.


다만 JP모건은 금통위원 중 일부가 지난 회의에서 정책 여력을 신중히 활용해야 한다고 언급했고, 새 위원들이 전임자보다 더 매파적(통화 긴축 선호)인 것으로 보이는 점을 감안할 때 금리 인하 시점은 다소 불확실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위원들이 교체된 후 처음으로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금통위인 만큼, 당장 금리를 내리기에 부담스러울 것이란 지적도 나온다.


하지만 증권업계에서는 여전히 한은이 이달 기준금리를 내릴 수 있다는 기대감이 있다. 대부분의 국가들이 금리를 최저 수준으로 낮추고 있어 기준금리를 내리기에 부담스럽지 않다는 얘기다. 미국과 유럽 등에서 실물경기 침체 위기가 현재 진행형이라는 점도 기준금리 인하를 기대하는 전문가들의 논리다.


강승원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미국의 실물 경기 침체 위기는 현재 진행형이며 2조 달러의 추가 재원 여력이 있어 5월 중 고용과 관련한 추가 정책으로 보강할 전망"이라며 "한국은행 역시 보다 적극적인 주체로 나설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이어 "현재 한국의 이자부 부채는 3600조원 수준이며 국채, 기금채 추가 발행으로 이자부 부채 규모 확대가 예상된다"며 "금리 인하의 효과가 더욱 확대되고 있어 5월 금통위의 추가 금리 인하가 가능할 전망"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강 연구원은 "4월 정부의 추경 및 기금채 대규모 발행 계획으로 수급 부담에 의한 금리 상승이 확인됐다"며 "이는 4월 금통위에서 한은 총재가 언급한 적극적 국채 매입의 조건이므로 5월 금통위에서 적극적인 국채 매입 시그널이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고 덧붙였다.



김은별 기자 silverstar@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