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6 (화)

이슈 긴급재난지원금

[단독] `재난지원금` 지역상품권 사용처 제각각…지자체 주민 혼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정부의 긴급재난지원금 지급이 시작된 4일 서울 종로구의 한 주민센터에 안내문이 붙어 있다. [이충우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4일부터 코로나19로 인해 긴급 지원이 필요한 저소득가구 약 280만가구에 긴급재난지원금 현금 지급이 시작됐다. 이들을 제외한 국민은 신용·체크카드 충전 또는 지역사랑상품권(지역화폐)이나 선불카드로 지급받는 세 가지 방식 중 하나를 택할 수 있다. 하지만 지급 수단별로 사용처가 달라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신용·체크카드로 받으면 전국적으로 사용처가 동일하고 대형마트, 백화점, 온라인 쇼핑몰, 유흥업소 등에선 쓸 수 없다. 반면 선불카드와 지역사랑상품권은 지자체마다 업종이 달라질 수 있어 각 지자체 홈페이지를 참고해야 한다. 이 같은 우려가 제기되자 행정안전부는 지자체에 선불카드만이라도 사용처를 같게 해달라며 교통정리에 나섰다.

행안부는 이날 광역·기초지자체 관계자들과 긴급재난지원금 관련 회의를 열고 각 지자체들에 "선불카드 사용처를 신용·체크카드와 동일하게 해달라"고 요청했다. 행안부 관계자는 "선불카드로 자체적인 지원금을 주는 곳이 있는 지자체가 정부의 긴급재난지원금 지급에서도 동일한 사용처 기준을 적용할 가능성이 있다"며 "국민의 이용 편의를 위해 지자체들에 사용처를 통일해줄 것을 회의에서 요구했다"고 밝혔다.

매일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급 수단별로 사용처가 달라 국민의 혼선이 가장 클 우려가 있는 지자체로 경기도가 지목된다. 경기도는 지난달 9일 전 도민에게 1인당 10만원씩을 지급하는 '경기도 재난기본소득'의 신청·지급을 시작했다. 지급 수단은 신용카드(13개사), 경기지역화폐, 선불카드다. 그러나 사용처를 신청자의 주민등록지 시군의 연매출 10억원 이하 매장으로 정하면서 도민 사이에서는 "내가 가는 매장이 연매출 10억원 이하인지 아닌지 어떻게 아느냐" "일일이 사용 가능한 매장인지 물어봐야 하느냐" 등의 불만이 쏟아졌다. 만일 경기도가 정부의 긴급재난지원금 지급에 대해서도 동일한 기준을 고수하면 신용·체크카드로 수령하는 도민과 선불카드로 수령하는 도민 간 사용처가 달라질 수 있다. 선불카드로 긴급재난지원금을 받는 도민의 불편이 또다시 발생하는 것 아니냐는 염려가 나오는 이유다.

이에 대해 경기도 관계자는 "행안부에서 요청 공문이 온 건 맞는다. 현재 도내 시군에서 지원된 선불카드 현황에 대한 자료를 경기도가 요청한 상태"라며 "앞으로 도내 시군을 비롯해 행안부와 원만히 협의해서 도민 불편을 최대한 줄이겠다"고 원론적인 입장을 내놨다.

한편 신용·체크카드를 지급 수단으로 하는 긴급재난지원금 신청은 오는 11일부터 온라인으로 진행된다. 지원금 충전을 희망하는 카드의 카드사 홈페이지에서 가능하다. 신청은 가구주가 해야 하며 '마스크 5부제'와 동일하게 신청 요일제가 적용된다. 신용·체크카드에 충전된 긴급재난지원금의 사용 업종 범위는 보건복지부의 아동 돌봄 쿠폰 기준을 따라 전국적으로 동일하다. 전통시장과 농협하나로마트를 포함한 동네마트를 비롯해 주유소, 정육점, 편의점, 음식점, 카페 등 일반 소매점과 병원, 약국, 학원 등에서 쓸 수 있다. 다만 대형마트(SSM·기업형 슈퍼마켓), 백화점, 온라인 전자상거래, 대형 판매점, 클린카드 적용 업종(유흥·위생·레저·사행)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하다.

선불카드·지역사랑상품권으로 긴급재난지원금을 수령하고자 한다면 18일부터 주소지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에서 신청할 수 있다. 선불카드와 지역사랑상품권 사용처는 광역·기초지자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이날 행안부는 전체 현금 지급 대상 가구 가운데 99%에 해당하는 283만여 가구에 대해 총 1조2902억원의 현금을 지급했다고 밝혔다. 행안부는 계좌 정보에 오류가 있어 긴급재난지원금을 받지 못한 나머지 가구에 대해서도 오류 검증과 당사자 확인을 통해 8일까지 지급할 예정이다.

[최현재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