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이슈 로봇이 온다

올해 로봇 1500대 보급…산업부 “제조혁신 가속·서비스 신시장 창출 ”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지능형 로봇 실행계획’ 수립

뿌리·섬유·식음료산업에 500대 우선 보급

돌봄·웨어러블·의료·물류 등 성장산업에도

이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세종=이데일리 김상윤 기자] 정부가 올해 로봇 1500대를 보급해 제조 혁신을 가속하고 유망 서비스 분야의 신시장을 창출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정부 관계부처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0년 지능형 로봇 실행계획’을 수립해 공고한다고 3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8월 발표한 ‘제3차 지능형 로봇 기본계획(2019∼2023)’의 첫 번째 연도별 추진계획이다.

올해 추진계획은 1271억원을 투자해 로봇 활용이 미흡한 제조업종과 4대 서비스 분야를 중심으로 로봇 1500대를 보급하고, 스마트 그리퍼 등 핵심 부품·소프트웨어를 개발하면서 5세대 이동통신(5G)·인공지능(AI)과 로봇의 융합·실증을 추진하는 내용이 담겨 있다.

정부는 로봇 도입이 저조한 뿌리·섬유·식음료 등 취약업종에 제조로봇 500대를 보급한다.

지난해 개발한 14개 로봇 활용 공정 표준모델을 적용·실증하기 위해 90개 이상의 수요기업에 협동로봇 등 제조로봇 500대를 보급하고 작업장 안전인증, 재직자 교육을 지원한다.

나아가 로봇 활용 공정 23개 표준모델을 추가로 개발하고 리스·렌털 서비스, 대출금리 우대 등 금융지원 프로그램을 추진해 기업이 자발적으로 로봇을 도입할 여건을 조성한다.

성장 가능성이 큰 돌봄·웨어러블·의료·물류 등 4대 유망 서비스 분야에는 로봇 1000대를 보급한다.

구체적으로 의복형로봇, 척추수술로봇, 주차로봇 등 신규 서비스 로봇 개발에 59억원을 투입하고 돌봄로봇 700대, 웨어러블 90대, 의료 10대, 물류 200대의 보급을 지원할 방침이다.

서비스로봇 확산에 걸림돌이 되는 규제를 선제 발굴·개선하기 위해 ‘로봇규제혁신지원센터’를 운영하고 로봇 분야 규제 개선추진 로드맵을 수립한다. 로봇의 핵심부품·소프트웨어 국산화와 수요처 연계 실증, 5G·AI와 로봇의 융합을 지원한다.

이를 위해 지능형 제어기 등 3대 핵심 부품과 잡는기술 소프트웨어 등 4대 소프트웨어 개발에 착수하고, 국산 로봇 부품을 로봇생산기업의 로봇에 적용해 검증하는 ‘로봇 부품 실증사업’을 추진한다.

산업부 관계자는 “최근 ‘비대면(언택트) 시대’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다양한 분야에 로봇을 활용하기 위한 논의가 활발하다”며 “로봇을 활용한 신시장 창출을 지원하고 로봇을 통한 기존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혁신을 위해 관계기관, 업계와 협조해 2020년도 실행계획을 차질없이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