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건강이상설]“머지않아 金 관련 소식 듣게될 것”
백악관 브리핑서 위중설 거리둬… 질문 이어지자 “어디 있는지는 몰라”
美정부 “金 열차 26일에도 원산에”
美 ‘가드레일’ 정찰기 평택기지 이륙 준비 북한 전역의 유·무선 교신 내용을 감청할 수 있는 주한미군의 ‘가드레일(RC-12)’ 정찰기 2대가 28일 경기 평택 캠프 험프리스에서 이륙 준비를 하고 있다. 이 정찰기는 주한 미8군 예하 501정보여단 소속으로 신호감청정보(SIGINT)를 수집하는 역할을 맡는다. 평택=홍진환 기자 jean@donga.com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7일(현지 시간)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건강 이상설과 관련해 “그가 어떻게 지내는지 알고 있지만 지금은 말할 수 없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정보당국으로부터 김 위원장의 최근 신변에 관한 구체적인 정보들을 보고받았으며, 최근 불거진 사망설이나 위중설은 근거가 없다고 판단했다는 점을 시사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 브리핑에서 김 위원장의 건강 상태에 대한 질문을 받고 “그가 괜찮기를 바란다”며 이렇게 밝혔다. 그러면서 “여러분은 아마도 너무 머지않은 미래에 (관련 소식을) 듣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 위원장의 건강 이상설과 관련한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은 조금씩 구체화되고 있다. CNN이 김 위원장 위중설을 보도한 다음 날인 21일 백악관 브리핑에서 김 위원장 신변과 관련한 질문에 트럼프 대통령은 “모른다”고만 했다가 23일에는 “CNN의 보도는 부정확한 가짜뉴스”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미 정보당국이 수집한 정보와 이를 바탕으로 한 분석 및 평가를 지속적으로 보고받고 있다. 정보당국은 정찰위성과 정찰기, 통신 장비는 물론 인적 정보를 총동원해 파악한 결과 현재까지 김 위원장의 신변이상설을 뒷받침할 이상 징후는 없다는 데 인식을 공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위성사진을 통해 김 위원장의 전용열차가 원산에 세워져 있다는 사실이 공개됐고, 미 행정부 관계자는 동아일보에 “이 열차가 26일에도 원산에서 포착됐다. 여전히 그가 원산에 머무르고 있을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고 말했다.
함경남도 선덕에 전개된 이동식발사대(TEL) 등 미사일 발사 준비 정황 및 현장에 마련된 지도층 참관 시설도 그대로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 행정부 관계자에 따르면 미국은 선덕에서의 미사일 발사 준비 정황을 지난주부터 파악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김동엽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고체연료 신형 중장거리 미사일 개발을 위한 시험발사를 준비하고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다만 전용열차의 위치나 미사일 발사 준비 상황이 정찰 자산에 노출될 수 있다는 점을 알고 있는 북한의 위장전술일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도 있다.
트럼프 대통령도 27일 브리핑에서 추가 질문이 나오자 “그(김 위원장)가 어디에 있는지는 아무도 모른다”며 말을 흐렸다. 이날 김 위원장에 대한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에 대해 CNN은 “서로 상충되는 설명으로 혼란을 가중시켰다”고 지적했다.
김 위원장 신변과 관련된 혼란이 길어지면서 미국에서는 북-미 정상 간 친분에 기대 온 트럼프 대통령의 대북 협상 전략이 더 이상 통하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가 커진다. 미 정치 전문 매체 폴리티코는 이날 “북한 독재자가 시야에서 사라지면서 트럼프식 협상 전략의 중대한 취약점이 드러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두 정상 간 ‘브로맨스’에 바탕을 둔 톱다운 방식의 비핵화 협상은 김 위원장의 신변에 이상이 생길 경우 지속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새롭게 부상한 북한 지도자가 권력 공고화를 위해 핵무기를 늘리려 할 경우 이에 대응하기도 어려운 데다 미중 갈등으로 중국의 협조를 기대하기도 어렵다. 전·현직 행정부 관료들은 “실무협상을 중심으로 한 보텀업(bottom-up) 방식으로 전략을 다시 짜야 한다”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워싱턴=이정은 lightee@donga.com·김정안 특파원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