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키우던 애완견을 하도 버리고 가서 동물보호소들이 더 이상 운영이 어려울 정도라고 합니다.
안락사 말고는 해결 방법이 정말 없는 건지 손형안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전북 군산의 유기동물보호소. 개들이 넓게 펼쳐진 야외 잔디밭에서 생활합니다.
그런데 유기동물 안락사를 시행하지 않아 좋은 평가를 받아오던 이 보호소가 최근 이 문제를 원점에서 재검토하기로 했습니다.
[김재현/군산도그랜드 대표 : 좁은 공간에서 활동하다 보니까 스트레스를 받아 자기네들끼리 싸우고. 그러다 보면 아침에 와서 보면 실제로 죽어 있는 애들도 있어요.]
경제가 어려워진 점 외에 최근 이곳 시설이 좋다고 알려지면서 전국에서 온 사람들이 보호소 주변에 개를 버리고 가기 때문입니다.
[김미애/봉사자 : 군산 보호소는 좋으니까, 군산에 다 버리는 거죠. 군산에다가 버리면 민원이 들어오면 어쩔 수 없이 보호소에서 나가고….]
[군산 유기동물보호소 행정실장 : (동물 유기와 관련된) 소송을 하면 몇 달이 걸리고, 몇 년이 걸리고, 그런데 소비하는 시간보다 차라리 그냥 받아줘서….]
이 때문에 개 주인에 대한 처벌뿐 아니라 분양이나 입양 등을 종합적으로 관리하는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이지연/동물해방물결 공동대표 : 유기동물 문제를 가장 잘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은 생산 판매업에 대한 강력한 규제, 그리고 단계적인 철폐로 나아가는 부분이라고 보거든요.]
(영상취재 : 이병주·김용우, 영상편집 : 이소영)
손형안 기자(sha@sbs.co.kr)
▶ [구독 이벤트] SBS뉴스 구독하고 선물 받아가세요!
▶ 코로나19 속보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키우던 애완견을 하도 버리고 가서 동물보호소들이 더 이상 운영이 어려울 정도라고 합니다.
안락사 말고는 해결 방법이 정말 없는 건지 손형안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전북 군산의 유기동물보호소. 개들이 넓게 펼쳐진 야외 잔디밭에서 생활합니다.
그런데 유기동물 안락사를 시행하지 않아 좋은 평가를 받아오던 이 보호소가 최근 이 문제를 원점에서 재검토하기로 했습니다.
개체 수가 수용 한계인 4백 마리보다 2배 이상 많은 850마리까지 늘었기 때문입니다.
[김재현/군산도그랜드 대표 : 좁은 공간에서 활동하다 보니까 스트레스를 받아 자기네들끼리 싸우고. 그러다 보면 아침에 와서 보면 실제로 죽어 있는 애들도 있어요.]
경제가 어려워진 점 외에 최근 이곳 시설이 좋다고 알려지면서 전국에서 온 사람들이 보호소 주변에 개를 버리고 가기 때문입니다.
[김미애/봉사자 : 군산 보호소는 좋으니까, 군산에 다 버리는 거죠. 군산에다가 버리면 민원이 들어오면 어쩔 수 없이 보호소에서 나가고….]
현행법상 동물을 버리고 달아나면 최대 300만 원의 과태료를 내야 하지만, 실제로는 현장 적발이 어려워 과태료 처분을 받는 경우는 많지 않습니다.
[군산 유기동물보호소 행정실장 : (동물 유기와 관련된) 소송을 하면 몇 달이 걸리고, 몇 년이 걸리고, 그런데 소비하는 시간보다 차라리 그냥 받아줘서….]
이 때문에 개 주인에 대한 처벌뿐 아니라 분양이나 입양 등을 종합적으로 관리하는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이지연/동물해방물결 공동대표 : 유기동물 문제를 가장 잘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은 생산 판매업에 대한 강력한 규제, 그리고 단계적인 철폐로 나아가는 부분이라고 보거든요.]
각종 정부 대책에도 불구하고, 매년 버려지는 반려동물은 줄지 않고 있습니다.
(영상취재 : 이병주·김용우, 영상편집 : 이소영)
손형안 기자(sha@sbs.co.kr)
▶ [구독 이벤트] SBS뉴스 구독하고 선물 받아가세요!
▶ 코로나19 속보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