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유업계, 올 1분기 '적자전환' 불가피…"조 단위 적자"
국제유가가 연일 대폭락을 기록하면서 국내 정유업계에도 비상이 걸렸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 20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에서 5월물 서부텍사스산 원유(WTI)가 '-37달러'에 거래되며 사상 첫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그런데 21일(현지시간) 6월 인도분 WTI도 전날보다 배럴당 43.4%(8.86달러) 하락한 11.57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배럴당 20달러에서 11달러로 거의 '반토막'가량 주저앉은 것이다. 이는 거래가 가장 활발한 월물 기준 지난 1999년 2월 이후 21년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6월물 북해산 브렌트유도 20달러선이 무너지며 19.82달러에 거래됐다.
국제유가가 대폭락을 이어가고 있는 데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가 주요한 원인으로 꼽힌다. 코로나19의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으로 인해 국내는 물론 전세계적으로 수송 및 이동용 연료 사용량이 급감했기 때문. 사회적 거리두기 등 코로나19의 감염을 우려해 재택근무를 시행하거나 개학을 미루는 등 움직임이 현저히 줄었다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국가 간 이동이 제한되면서 항공유 수요가 대폭 감소한 것도 연료 사용이 줄어든 하나의 배경이다. 지난 12일 주요 산유국이 화상회의를 열고 5~6월 두 달간 일일 970만 배럴 감산에 합의했지만 실질적인 대책으로는 역부족한 상황이다.
이 같은 저유가 기조에 국내 정유업계에는 비상이 걸렸다. 정유사의 수익성을 나타내는 대표적 지표인 정제마진이 최근 들어 마이너스를 피하지 못하고 있다. 싱가포르 복합 정제마진은 5주 연속 0달러 아래를 기록해 정유사가 제품을 팔수록 손해를 보는 구조 속에 놓이게 됐다. 주간기준 정제마진은 배럴당 ▲3월 3주 -1.9달러 ▲3월 4주 -1.1달러 ▲4월 1주 -1.4달러 ▲4월 2주 -0.7달러 ▲4월 3주 -0.1달러 등이다. 월간 기준으로는 지난해 12월 이후 약 4개월만에 -0.7달러로 마이너스를 나타냈다.
문제는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될 경우, 국내 주요 정유사들이 사들여 온 원유를 비축할 저장소가 부족해질 수 있다는 데 있다. 수입해 온 원유를 정제해 제품을 만드는 정유사들은 대부분 원유 도입에 있어 장기 계약을 맺는데, 이미 계약한 물량의 경우 시장 내 수요가 적다고 해서 안 받을 수 없기 때문이다. 업계에 따르면 이미 추가 저장소를 정부와 논의하고 있는 정유사도 생겨나고 있다. SK에너지는 서산에 있는 저장탱크를 사용하기로 했고, GS칼텍스는 여수기지의 원유 저장시설 임차를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현대오일뱅크와 GS칼텍스는 현재 정기보수를 진행 중이지만, 곧 끝날 것으로 예상돼 국내 공급은 더 많아질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이 같은 수급 불균형 현상 등으로 인해 국내 주요 정유사들의 올 1분기 실적은 대규모 적자일 것으로 전망된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SK이노베이션은 올 1분기 매출 10조9297억원, 영업손실 7326억원, 당기순손실 6879억원으로 추정된다. 이는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4.9% 줄고,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이 적자전환한 것이다. 또한 에쓰오일은 매출 5조5271억원, 영업손실 4774억원, 당기순손실 4437억원으로 예상돼,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이 1.9% 늘지만 역시 적자전환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한 증권업계 관계자는 국내 정유사들의 1분기 실적에 대해 "조 단위 적자가 불가피해 보인다"고 밝혔다.
또 다른 증권업계 관계자는 "1분기는 적자가 되게 심할 것이다"며 6월물 WTI의 폭락 가능성에 대해 "결국에는 수요가 계속 안 좋고 공급 축소가 안 되면 비슷한 상황이 또 발생하지 않을까 싶다"고 말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