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 당국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CNN 기사는 김 위원장 건강이상설 첩보를 미국도 지켜보고 있다는 내용"이라며 "언론 보도를 봤고 관련 사안을 지켜 보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그러면서 "특별히 확인해드릴 만한 내용은 없다"고 설명했다.
|
김 위원장의 건강이상설은 '태양절'(김일성 생일·4월 15일)을 기점으로 불거졌다. 당시 김 위원장은 집권 이후 처음으로 금수산태양궁전 참배를 생략했다. 건강이상설 외에도 코로나19 감염설, 신변이상설 등도 함께 제기됐다.
이러한 가운데 북한 전문매체 데일리NK는 20일 북한 내부 소식통을 인용, "김 위원장이 지난 12일 평안북도 묘향산 지구 내 김 위원장 일가 전용병원 향산진료소에서 심혈관 시술을 받고 인근 향산 특각(별장)에 머물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 매체는 김 위원장의 심혈관계 시술은 평양 김만유병원의 담당 외과의사가 직접 지도했으며, 조선적십자종합병원, 평양의학대학병원 등 이른바 '1호' 담당 의사들이 총출동했다고 전했다.
해당 보도와 관련해서도 통일부는 말을 아꼈다. 통일부 당국자는 이날 "공식적으로 언급해드릴 사안이 없다"며 일부 전문가들이 제기하는 '북한 급변 가능성'에 대해서도 "전문가들의 평가에 대해 당국이 평가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했다.
|
한편 김 위원장이 수술 후 중태에 빠졌다는 설이 난무하고 있는 가운데 김씨일가의 가족력인 심장병이 다시금 조명되는 모양새다.
김일성·김정일은 심장질환으로 사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먼저 김일성 주석은 1994년 심근경색 또는 급성 뇌출혈이 사망 원인으로 추정되고 있다. 김정일은 지난 2011년 12월 급성 심근경색과 심장쇼크 합병증으로 숨을 거뒀다.
심근경색을 유발하는 주요 위험 인자로는 비만과 고지혈증, 고혈압, 음주, 흡연 등이 꼽힌다. 김 위원장은 일련의 위험 요소를 다 갖췄다는 관측이다.
국가정보원도 김 위원장의 건강에 '빨간불'이 켜졌다고 평가한 바 있다. 국정원은 지난 2016년 7월 국회 정보위 전체회의에서 김 위원장의 몸무게는 "2012년 90㎏, 2014년 120㎏, 최근엔 130㎏로 추정된다"고 분석했다.
국정원의 분석대로 라면 김 위원장의 키가 약 170㎝인 것을 감안해 볼 때 초고도 비만 상태라는 걸 유추해볼 수 있다.
특히 불면증과 폭음, 폭식, 흡연 등의 잘못된 생활 습관으로 성인병 발발 가능성이 높다는 평가가 나온다.
noh@newspim.com
저작권자(c)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