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우디아라비아 요청에 따라 OPEC+(OPEC과 러시아 등 10개 산유국 연대체)가 6일 긴급 영상회의를 열고 감산을 논의할 것이라고 블룸버그가 3일 보도했다. 이에 따라 국제 유가는 이날 싱가포르 시장에서 배럴당 25달러 선까지 다시 반등했다.
사우디와 러시아 간 '유가 전쟁'에 미국이 본격 개입하면서 국제 유가가 큰 폭으로 출렁이고 있다. 국제 유가는 2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트윗에 이어 사우디가 산유국 긴급회의를 소집했다는 소식에 20% 이상 급등했다. 그러나 러시아가 감산과 관련해 사우디와 아무런 대화가 없었다고 부인하자 유가는 하루 만에 다시 5% 하락하는 등 큰 변동을 보였다.
이날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5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날보다 배럴당 24.67%(5.01달러) 급등한 25.32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이는 역사상 최고 상승률이다. 특히 유가는 장중 30%를 웃도는 상승세를 보이기도 했다. 사우디가 원유 시장을 안정시키는 공평한 원유 생산을 위해 OPEC+와 다른 국가들이 모이는 긴급회의 소집을 요청한 것이 호재로 작용했다.
그러나 시장의 기대감은 트럼프 대통령 트윗 직후 푸틴 대통령이 무함마드 왕세자와 통화하지 않았다고 밝히면서 반전됐다.
사우디와 러시아 간 '유가 치킨게임'은 한 달째 계속되고 있다. 지난달 6일 사우디는 OPEC+ 회의에서 코로나19 위기에 따른 원유 수요 위축에 대비해 3월로 끝나는 감산 합의 시한을 연장하는 안을 제시했으나 러시아 측 반대로 협상이 결렬됐다. 이에 사우디는 이달부터 산유량을 하루 970만배럴에서 1230만배럴로 늘렸고, 이러한 공급과잉에 유가는 배럴당 20달러 선 붕괴 위기에 몰렸다.
[뉴욕 = 장용승 특파원 / 서울 = 김제관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