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4 (화)

이슈 우리들의 문화재 이야기

문화재청, 5년간 전국 사찰 '불단' 조사한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기록화 작업 및 국가지정문화재 지정 추진도

뉴스1

보물 제486호 영천 은해사 백흥암 수미단(문화재청 제공).©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이기림 기자 =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은 올해부터 5년간 불교문화재연구소(소장 제정)와 함께 전국 사찰의 불단에 대한 정밀 조사에 착수한다고 31일 밝혔다.

불단은 사찰의 건물 내부에 불상을 올려 두고 예불하기 위한 용도로 제작한 일종의 받침대다. 수미단이라고도 불린다.

이번 조사는 '불교문화재 일제조사'의 3차 사업 대상으로 불단이 선정되며 이뤄지는 것이다. 올해는 전라남도와 전라북도 지역의 16개 사찰이 조사대상이다.

정밀 실측과 2차원(2D) 디지털 촬영, 3차원 입체(3D) 스캐닝과 도면 작업 등을 통한 원형 디지털 기록화 작업을 하게 된다.

또한 보존과학 조사(손상현황지도, 수종 성분 분석, 보존환경 분석)와 안전도 점검 조사 등의 과학 조사도 병행된다. 해당 불단의 역사‧미술사 의미를 연구하는 인문학 조사도 종합적으로 시행된다.

조사 결과에 따라서 추후 보존할 가치가 크다고 판단되는 불단은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해 안정적으로 보존하고 관리할 예정이다.

불단을 정밀 조사하는 이유는 그 가치가 크기 때문이다. 불단은 건물 내부를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이자, 불상을 봉안하고 의례에 필요한 다양한 공양기물을 차리기 위해 마련된 구조물이다.

불단의 제작기술은 불상의 봉안과 예배 방식의 변화에 따라 발전해 왔으며, 당대의 우수한 장인들이 시대상을 반영한 다양한 문양과 도상을 정교하게 조각하기 때문에 역사‧미술사 분야의 연구 자료로서도 큰 가치를 지니고 있다.

더불어 목패, 소통, 촛대와 같은 다양한 의식구들과 어우러져 우리 불교문화의 전통과 독창성을 보여주고 있어 보존할 가치가 크다. 그러나 불단은 그동안 건물의 부속물로만 인식되면서 불상, 불화 등과 같은 불교문화재에 비해 상대적으로 관심이 부족한 편이었다. 또한 불단의 주재료가 목재이기 때문에 수리가 쉽지 않은 반면 변형되기 쉽고 화재, 충해, 습기 등 외부 환경에도 취약해 보존‧복원을 위한 원형자료 구축이 절실하다는 의견이 꾸준히 있었다.

한편 현재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된 불단은 영천 은해사 백흥암 수미단(보물 제486호), 김천 직지사 대웅전 수미단(보물 제1859호) 2건이 있다.
lgirim@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