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각' 아시아나항공·아시아나IDT서 퇴직금만 51억원 챙겨
그룹 핵심 계열사인 아시아나항공을 매각할 정도로 기업 부실을 겪은 가운데 퇴직금으로만 51억원을 챙긴 셈이다.
30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아시아나항공은 박 전 회장에게 작년에 급여 1억6천800만원과 기타 근로소득 11억9천200만원, 퇴직금 20억7천900만원 등 총 34억3천900만원을 지급했다.
기타 근로소득은 근로소득지급명세서상 임원의 퇴직소득금액 한도 초과액을 근로소득으로 처리한 것으로, 퇴직금의 일부로 보면 된다.
퇴직금은 규정에 따라 퇴임 당시 월 평균 보수 6천500만원에 근무기간인 8.4년과 직급별 지급 배수를 곱해 산정했다는 것이 아시아나항공 측의 설명이다.
![]() |
박삼구 전 금호아시아나그룹 회장 |
이번에 아시아나항공과 함께 통매각된 아시아나IDT는 퇴직금 10억7천800만원과 기타 근로소득 7억5천300만원 등 총 21억2천900만원의 보수를 박 전 회장에게 지급했다.
앞서 박 회장은 2017년 금호타이어 대표이사직에서 물러날 때에도 고액의 퇴직금을 챙겨 논란이 된 바 있다.
이와 함께 박 전 회장은 그룹 지주사인 금호산업에서 작년에 급여 6억6천300만원과 상여 2억5천300만원 등 총 9억1천600만원도 받았다.
금호산업 관계자는 "모든 계열사에서 상무 이상 임원에게 퇴직 후 고문역이나 자문역을 2∼3년 요청하고 있다"며 "박 전 회장도 그룹 경영 일선에서 물러나면서 고문역으로 보수를 받은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를 전부 합하면 64억8천400만원으로, 비상장회사를 감안하면 작년에 박 전 회장이 챙긴 보수는 이보다 더 많을 것으로 보인다.
앞서 작년 3월28일 박 전 회장은 아시아나항공[020560]이 감사보고서 문제로 시장에 혼란을 초래한 것에 책임을 지고 그룹 경영에서 물러나기로 결정했다. 이에 따라 그룹 회장직, 아시아나항공과 금호산업의 대표이사직과 등기이사직, 금호고속 사내이사직에서 모두 사퇴했다.
hanajjang@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