붓다 가르침의 정수 '사성제'…핵심 교리와 바른 수행법 담아
(서울=연합뉴스) 양정우 기자 = 붓다의 가르침이자 불교의 핵심인 '사성제(四聖諦)'를 주제로 한 대중서가 출간됐다.
저자는 춘천 제따와나(Jetavana) 선원의 선원장 일묵스님이다. 이번 책은 그가 7년 만에 내놓는 신간이다.
그는 1996∼97년 서울대 재학·졸업생 10여명이 동시 출가해 화제를 모았을 때 한가운데 있었다. 스님은 당시 서울대 수학과 박사과정을 밟다 출가했고 국내외 불교 수행처에서 수행해 왔다.
고성제(苦聖諦)는 존재 자체가 괴로움이라는 진리, 집성제(集聖諦)는 탐내고 집착하는 갈애(渴愛)가 괴로움의 원인이라는 진리다.
저자는 사성제야 말로 특정한 불교 전통에만 전승되는 가르침이 아니라 모든 전통에 포함된, 공통된 가르침이라고 말한다. 사성제는 단순한 이론 체계나 사상이 아니며 이를 바르게 이해하는 것이야말로 불교 수행의 핵심이라고 강조한다.
하지만 사성제를 교리 차원을 넘어 수행의 관점에서 접근한 논의는 그간 찾아보기 어려웠다. 이런 고민이 그가 책을 펴낸 이유다.
스님은 수행에 필요한 수준에서 사성제를 정리했고, 사성제가 어떻게 불교 수행에 적용되는지를 드러내고자 했다.
이어 사성제가 삶과 수행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우리는 이를 토대로 어떻게 살고 수행해야 하는지까지 나간다.
스님은 사성제를 이해해 바른 견해를 갖춘 사람은 불가능한 일은 포기하고, 가능한 일을 열심히 하는 사람이라고 한다. 무상한 것이 영원하기를 바라거나, 괴로움인 것이 행복이기를 바라거나, 통제할 수 없는 것을 통제하기를 바라는 일은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기 때문이다.
그는 책 서문에서 "진실로 고귀하고 심오한 붓다의 가르침이 이 세상에 오래 머물기를 기원한다"며 독자가 사성제의 진리와 함께하기를 바랐다.
eddie@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