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3 (수)

이슈 청와대와 주요이슈

집 팔라더니…靑참모·장관·국회의원 3명중 1명이 다주택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 고위공직자 재산 공개 / 청와대·입법부 ◆

매일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매일경제가 비서관급 이상 청와대 인사 49명, 중앙부처 장관과 외청·위원회 기관장 53명, 20대 국회의원 287명 등을 조사한 결과 총 389명 가운데 34.7%인 135명이 2주택 이상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 공직자윤리위원회가 26일 공개한 '정기 재산변동 신고'(작년 말 기준)에 따르면 청와대 49명 중 16명(32.7%), 중앙부처 장관·위원장급 53명 중 19명(35.8%), 20대 국회의원 287명 중 100명(34.8%)이 다주택자였다. 아파트, 연립·단독주택, 다가구·다세대 주택, 복합건물, 오피스텔 등을 보유하고 있으면 주택을 보유한 것으로 분류했다. 정부가 고강도 부동산 대책을 발표한 지난해 12월 16일, 노영민 대통령 비서실장은 "청와대 공직자 중 다주택자는 불가피한 사유가 없다면 1채를 제외한 나머지 주택을 처분해달라"고 권고했다. 하지만 그런 선언이 무색할 정도로 고위 공직자 중 상당수가 다주택자로 나타난 것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전년 대비 6000만여 원 감소한 19억4600만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지난해 10월 사망한 모친의 재산(1억5100만원)이 등록 대상에서 제외된 것이 재산 감소의 주된 요인이다. 문 대통령 명의의 예금은 9억3200만원으로 약 6300만원 증가했고, 김정숙 여사 명의의 예금은 6억1700만원으로 약 500만원 늘어났다.

문 대통령을 제외한 청와대 실장·처장·수석·비서관 등 49명의 재산 평균은 14억4100만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대비 1억2800만원 증가한 규모다. 재산의 상당 비중을 차지하는 부동산이 공시지가로 신고된 경우가 많아 청와대 참모들 재산의 현재 가치 평균은 20억원 안팎인 것으로 추정된다.

청와대에서는 수석급 이상이 상대적으로 재산이 많은 것으로 파악됐다.

최고 자산가는 김현종 국가안보실 2차장으로, 전년 대비 5억5100만원 증가한 58억5100만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주로 부동산 가격 상승이 작용했다. 서울 용산구에 보유한 아파트가 3억400만원, 배우자가 강남구에 보유한 상가가 8600만원 올랐다. 김조원 민정수석은 3억6200만원 증가한 33억4900만원을 신고했다. 이호승 경제수석은 4억5200만원 증가한 28억3900만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49명의 청와대 참모 중 다주택자는 16명(3주택자 1명, 2주택자 15명, 비수도권 포함)으로 집계됐다.

노영민 비서실장은 서울 서초구 반포동 아파트와 충북 청주시 아파트 등 2채를 그대로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신고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지난해 12월 (노 실장의) 매각 권고는 수도권 내 2채 이상의 주택을 보유한 고위 공직자에 대한 처분 권고였다"며 "(강남·청주 각각 1채를 보유한) 노 실장은 이 기준에 해당되지 않는다"고 해명했다.

국회의원들의 재산도 늘어난 경우가 많았다. 20대 국회의원 10명 중 7명은 지난해 재산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 국회의원 재산 변동 신고내역에 따르면 신고 총액이 500억원 이상인 3명(김병관·김세연·박덕흠 의원)을 제외한 287명의 신고 재산 평균은 24억8359만원으로, 전년 대비 평균 1억2824만원(5.4%) 증가했다. 전체 290명 중 전년 대비 재산이 증가한 의원은 213명(73.4%)이었다.

1년 새 재산이 10억원 이상 늘어난 의원도 8명이나 됐다. 박덕흠 미래통합당 의원(36억7034만원), 심재철 통합당 의원(28억3672만원), 박정 더불어민주당 의원(26억2701만원), 금태섭 민주당 의원(23억5179만원), 송희경 통합당 의원(16억1300만원) 등이다. 이들 의원 재산 증식은 공시지가 상승, 아파트 재건축 완료, 건물 매각 등에 따른 것이었다.

[고재만 기자 / 박용범 기자 / 박승철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