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 코로나19 비상경제상황점검회의···TF→경제위기대책본부 격상
소상공인 긴급자금 지원 등 중점 추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코로나19 펜데믹(세계적 대유행)으로 충남 경제가 ‘유동성 함정’ 구간에 진입하고 있고 이에 따라 올해 도내 명목소득은 3조원 가까이 감소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충남도는 지역경제 피해 최소화와 지역경제 활성화 방안 모색을 위해 지역경제상황대응TF를 경제위기대책본부로 격상해 운영하고 비상경제상황점검회의를 수시로 개최하며 위기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계획이다.
충남도는 23일 도청 대회의실에서 양승조 지사, 도 관련 실·국장, 유관 기관·단체 관계자, 전문가 등 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코로나19 확산 관련 비상 경제상황점검회의를 개최했다.
코로나19에 따른 도내 경제 상황 판단과 대응 방안 모색을 위해 연 이날 회의에서는 한국은행 충남본부, 국제금융센터가 ‘최근 경제 상황과 정책 대응’과 ‘최근 금융시장 동향 및 전망’을 각각 발표했다.
이어 충남경제동향분석센터가 ‘충남 경제 상황 진단 및 대응 방향’을 내놓았고 충남도와 유관기관이 각자의 대응 상황을 공유하고 향후 계획을 제시했다.
충남경제동향분석센터는 충남 GRDP 성장률 2.5% 감소를 가정할 때, 2018년 기준 명목소득은 2조9,400억원, 1인당 지역내총생산은 135만원, 민간 소비 39만5,000원, 개인 소득 46만 2,000원이 감소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한 지난해 12월 대비 올 1월 제조업 생산은 경공업 1.3→-10.2%, 중공업 -0.5→-7.6%, 생산·출하 -1.2→-7.6%로 각각 감소하고 2월중 제조업 설비투자 기업경기실사지수(BSI) 전망치도 1월 92보다 4p 감소할 것으로 분석했다.
방만기 충남경제동향분석센터장은 “우리나라와 충남 경제는 유동성 함정 구간에 진입 중”이라며 “해외 공급 및 수요망이 일부 붕괴되고 있는 상황에서 글로벌 경기 침체로 인해 국내 및 충남 경기 악화가 확실시 되고 있다”고 말했다.
방 센터장은 그러면서 “현재는 나라 및 지역이 살기 위한 모든 수단을 강구할 때로 비상 상황에 맞는 지자체의 과감한 정책이 필요하다”며 재난위기 긴급 지원금 지출, 충남형 재난기본소득 등을 정책 방안으로 제시했다.
한국은행 충남본부는 최근 충남지역 실물경제는 서비스업과 소비를 중심으로 전년 4분기에 비해 크게 악화된 것으로 조사됐고 앞으로도 코로나19 영향으로 생산 및 소비 부진이 이어질 전망이라고 발표했다.
충남도는 이 같은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각 분야별 밀착 모니터링을 통해 경제상황을 공유하고 대응 방안을 찾는 한편, 각종 지원책을 마련해 추진한다.
지역경제상황대응TF는 도지사를 본부장으로 하는 경제위기대책본부로 격상해 가동하고, 경제 위기 대응 최고 의사결정 기구인 비상경제상황점검회의는 도지사 주재로 수시 개최한다.
생계 위협에 직면한 소상공인을 위해서는 다음 달 중 긴급 생활안정자금을 지원한다.
대상은 도내에 주소를 둔 소상공인, 운수업체 종사자, 저소득층, 비정규직 근로자, 특수형태근로자와 프리랜서 등 15만여명이며 지원금은 1가구(업체) 당 100만원이다.
충남도는 이와 함께 소상공인 긴급 경영안정자금 4,000억원, 중소기업 2,624억원 융자 지원, 소상공인 사회보험료 410억원 지원, 충남 지역화폐 발행규모 2,595억원 증액에 이어 소상공인 노란우산공제 가입 장려금 지원 등을 통해 소상공인·자영업자 경영 활성화를 돕는다.
국내·외 투자 유치도 강화하기로 하고 오는 27일 17개 기업과 투자협약을 체결하고 5∼6월에는 유럽 주요국에서 외국인기업에 대한 투자 유치에 나선다.
양승조 충남도지사는 “코로나19 장기화에 대비하면서 더욱 비상한 각오로 지역경제와 민생을 챙겨야 한다”라며 “우리 모두가 함께 머리를 맞대며 지역경제에 대한 진단과 분석을 공유하고 이를 바탕으로 각 기관과 단체, 분야별 주체들이 대안을 제시하며 실질적인 해법을 찾아 나아가자”고 강조했다.
/홍성=박희윤기자 hypark@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