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안펀드 10조원 안팎 조성될 듯
단기금융시장 안정화 방안도 포함
23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관계부처는 24일 문재인 대통령이 주재하는 2차 비상경제회의를 열어 증권과 채권시장, 단기자금시장 대책을 포함해 금융시장 안정화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실물시장의 충격이 금융시장까지 확산하면서 시장이 출렁이고 돈이 제대로 돌지 않는 자금 경색현상이 심해 이를 타개하기 위한 방안을 찾는 자리다.
정부는 최소 27조원이 넘는 자금을 투입해 시장을 안정화한다는 생각이다. 우선 채권시장안정(증안)펀드를 10조원 이상 조성할 계획이다. 이는 최소 규모이고 상황에 따라 증액도 가능하다. 금융위는 이미 84개 금융회사와 관련 협약을 체결해 놔 언제든지 펀드 운용을 재개할 수 있다.
증권시장안정(증안)펀드 규모도 최종 조율 중이다. 출렁이는 증시를 안정화하려는 차원이다. 증안펀드는 1990년 4조원 규모로 첫 조성됐고, 2008년 금융위기 때는 증시 유관기관들이 5150억원 규모로 펀드를 만들어 자금을 시장에 투입한 적이 있다. 증안펀드 규모로 5조~10조원 상당이 거론됐으나 증시하락폭이 커지며 시장에서는 10조원이 넘을 가능성도 거론 중이다. 채안·증안 펀드는 은행권이 주포로 나서고 증권과 보험사들이 힘을 합쳐 재원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이날 은성수 금융위원장이 은행장들과 만나 최종 방안을 조율했다.
금융위 관계자는 “신속한 증권시장안정펀드 조성을 위해 비상경제회의 이후 증권시장안정펀드 출자금융회사를 대상으로 한 증시안정펀드 제1차 관계자 회의를 개최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코로나19 피해 기업 지원용 채권담보부증권(P-CBO) 프로그램도 6조7000억원 규모로 준비 중이다. P-CBO는 신용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신규 발행 채권을 기초자산으로 삼는 유동화 증권이다.
단기자금시장 대책도 포함됐다. 최근 콜과 환매조건부채권(RP), 기업어음(CP), 전자단기사채를 포함해 단기자금시장에서 금리 변동성이 커져 대응방안을 내놓겠다는 것이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