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진에 이어 코로나19 경기부진 여파 '직격탄'
연체율 증가에 신규 대출 줄어드는 추세 '완연'
금융당국, P2P금융 대출과 투자에 신중한 접근 요구
최근 연체율까지 급등하자 금융 당국까지 나서 소비자 경보 ‘주의’를 발령했다. 시장 불확실성이 커진 만큼 각별한 유의가 필요하다는 평가다.
P2P대출 증가율 급락
23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올 2월 한국P2P금융협회 회원사 누적 대출 잔액 증가율은 1.9%(전월대비)를 기록했다. 바로 전달(올해 1월) 4.38%에서 큰 폭으로 하락했다. 지난해 5~6%대 증가율을 유지하던 것과 비교하면 절반 이하로 떨어졌다. 코로나19 충격이 본격화된 이달 이후에는 대출 증가율이 더 떨어질 것이라는 예상이 지배적이다. 이 추세대로면 누적 대출 잔액이 증가율이 0%대까지 내려갈 수 있다고 업계는 우려하고 있다.
자료 : 한국P2P금융협회 공시 자료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지난 2018년 4월 신용전문 P2P금융 업체들(렌딧, 모우다, 팝펀딩, 펀다, 8퍼센트)이 한꺼번에 P2P금융협회를 이탈하고 이들 업체의 대출 잔액이 일시적으로 대출 통계에서 빠지지면서 당시 누적대출 잔액 통계가 마이너스(-)를 기록한 적은 있었지만, 승승장구하던 P2P금융이 사실상 정체상태에 접어드는 건 처음 겪는 일이다.
P2P금융업계 관계자는 “소상공인이나 자영업자 등 중신용자 대출이 많은 P2P금융 특성 탓에 대부분의 업체들은 연체율 상승 등을 걱정하고 있다”면서 “지금과 같은 위기 상황이 계속 된다면 더 큰 타격을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기존 소상공인 등에 대한 대출 부실화 우려로 P2P금융 업체들이 신규 대출에 소극적이라는 얘기다.
연체율까지 급등..금융 당국 주의 당부
연체율도 문제다. 이날(23일)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18일 기준 P2P금융 연체율은 15.8%를 기록했다. 2017년말 5.5%에서 10.3%포인트 상승했다.
P2P 대출 규모 자체가 커지는 만큼, 위험성도 커지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P2P대 출잔액은 2017년 말 7532억원에서 2018년 말 1조6439억원, 2019년 말 2조3825억원으로 2년여 만에 3배 이상 급증했다. 지난 18일 기준 P2P 대출 잔액은 2조3326억원으로 나타났다. 업체 역시 2017년 말 183개에서 이달 18일 기준 242개로 늘어났다.
출처[금융감독원] |
특히 지난해 건설경기가 부진하며 중소형 부동산 P2P 시장이 연체율을 높인 것으로 확인된다. 금융당국은 한국P2P금융협회 공시자료를 근거로 부동산파이낸싱프로젝트(PF)나 부동산담보대출 등 부동산대출상품의 취급비율이 높은 업체들의 연체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고 투자에 참고해달라고 당부했다.
게다가 P2P대출은 시중은행에서 돈을 빌리기 힘든 소상공인이나 자영업자들이 더 높은 금리를 주고 자금을 빌리는 시장이다. 코로나19로 인해 소비심리가 침체되는 만큼, 연체율 상승 현상이 당분간 지속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부실율 공시 법제화 통해 업체 간 옥석 가려야
이번 위기 상황을 통해 업체 간 옥석이 가려져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그간 부실 공시를 하거나 그조차 없었던 업체가 수두룩했기 때문이다. P2P금융이 법제화되고 제도권 금융에 편입되기 위해서는 부실 업체들의 퇴출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부실 업체 퇴출을 위해 ‘대출 부실율’을 공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대출 부실율은 연체율과 달리 대출 상환이 어려워진 대출의 비율을 뜻한다. 일부 업체들은 연체율을 낮추기 위해 대출을 채권화해 외부에 파는데, 대출 부실율을 이런 대출까지 드러날 수 있기 때문이다. P2P금융업체들의 민낯이 드러날 수 있다는 논리다.
P2P금융 업계 관계자는 “P2P금융협회 출범 초창기에 부실율 공시에 대한 의견이 나왔지만 많은 업체들이 반대해 무산됐다”면서 “법제화를 앞두고 다시 공론화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