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금융당국 및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24일 대통령 주재 2차 비상경제회의가 종료된 직후 증시안정펀드 회의를 진행한다. 이 자리에서는 증권시장안정펀드 출자금융회사를 대상 및 규모, 운영 방식 등에 대한 초안이 마련될 것으로 보인다.
|
증시안정펀드는 앞서 증권시장안정기금이란 이름으로 1990년대에 조성된 바 있다. 조합 형태로 설립된 이 기금은 당시 증시 안정화를 목적으로 25개 증권사를 비롯해 은행과 보험, 상장사 등이 660여개 기관이 4조535억원 규모로 출자했다. 2008년에는 증권 유관기관들이 중심이 돼 5000억원 규모로 자금을 조성된 바 있다.
이번에 조성되는 증시안정펀드는 약 10조원 규모로 증시안정펀드를 조성될 것으로 알려졌으며, 증권업계 외 금융지주와 보험사 등 금융권이 공동 출자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금융위는 증시안정펀드를 통해 주가부양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현재 금융지주 위주로 자금을 출자하려고 하는데, 채권안정기금에 대한 참여는 쉽게 되고 있지만 증시안정펀드에 대해서는 대부분 부담을 느끼는 모양새"라며 "특히 과거 투신사 부실을 가져온 사례인 '증권판1212 사태' 등으로 증권업계조차도 실효성 의문과 출자 부담을 느끼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 1990년도 코스피 1000선이 무너지자 정부는 당시(1990년 12월 12일) 3개 투자신탁회사에게 시중은행에게 돈을 빌려 주식을 매수하도록 했다. 규모는 당시 시가총액 2.8%인 2조7000억원이다. 공격적인 주식 매입에 코스피는 잠시 반등했으나, 이후 더 거세게 곤두박질쳤다. 정부는 추후에 금융권을 동원해 증시안정기금을 투입에 나섰지만 역부족이었다. 코스피 지수는 1992년 400선까지 밀렸다. 결국 3개 투신사는 부실사로 전락했다.
한 증권업 관계자는 "투신사에게 주식을 매수하라고 한건 정부였지만, 결국 투신사가 부실사로 전락했다"며 "게다가 주식을 기관들이 사 들인다고 해서 얼마나 큰 증시부양 효과가 있을지도 미지수다. 오히려 증시가 반짝 올랐을 때 팔고 가는 외국인이나, 개인들이 쏟아져 나올 것"이라고 전했다.
더군다나 증권사들은 최근 ELS발 CP유동성 위기도 맞았다. 증권사들은 ELS를 발행할 때 선물을 기반으로 헤지(위험회피)를 한다. 최근 코로나19로 대규모 지수형 ELS 증거금 납부(마진콜) 요구가 들어오면서 이를 확보하기 위해 증권사들은 보유중인 CP, 전자단기사채를 매각했다.
금투업계에 따르면 현재까지 삼성증권·한국투자증권·미래에셋대우 등은 각 사당 1조원 이상의 마진콜이 발생했다. 특히 CP 물량이 대규모로 나오면서 가격이 급락(채권 금리 상승)하는 등의 시장왜곡이 발생하기도 했다.
금투업계 관계자는 "CP 영향도 있지만, 글로벌 증시가 전반적으로 급락하면서 이에 대한 손실도 있다"며 "더군다나 증시안정펀드 참여로 투자손실이 발생할 경우 주주나 고객 피해가 우려돼 부담이 되긴 한다"고 말했다.
intherain@newspim.com
저작권자(c)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