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인민은행 홈페이지 캡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베이징=정지우 특파원】중국이 20일 사실상의 기준금리 역할을 하는 대출우대금리(LPR)를 동결했다. 미국의 제로금리에 맞춰 추가적인 조정이 있을 것이라는 전망과 달리, 현 수준을 유지했다. 이미 여러 차례 시장 유동성 조치를 단행한 만큼 부작용 등을 우려해 속도 조절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20일 관영 신화통신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경제매체 차이신 등에 따르면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1년 만기 기준 3월 LPR을 현행 4.05%로 유지키로 했다고 발표했다. 5년 만기 LPR도 지난달과 같은 4.75%를 이어갔다.
중국은 18개 은행이 보고한 최우량 고객 대출금리의 평균치인 LPR 매달 20일 오전에 고시하는데, 모든 금융기관은 이 같은 LPR을 대출 업무 기준으로 삼아야 하기 때문에 실질적인 기준금리 역할을 하고 있다.
당초 중국은 미중 무역분쟁 여파에 코로나19까지 겹치자, 2월 LPR을 4.15%에서 4.05%로 0.10% 내리면서 1차적인 조치를 취했다.
하지만 코로나19가 세계적으로 확산일로에 접어들면서 글로벌 경기하강 우려가 확대됐다. 따라서 미국을 시작으로 각국은 금리인하를 단행했고 인민은행도 LPR을 다시 낮출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됐다. 시장 예상치는 최소 0.05% 인하였다.
신화통신은 “LPR인하는 기업 금융의 실제 이자율을 낮추고 경제 금융비용의 감소를 촉진할 수 있다”고 밝혔다.
중국 현지 경제 소식통은 “미국 경기가 가라앉으면 세계 경제도 가라앉게 될 것”이라며 “(미국처럼)중국도 (이전)보다 강력한 재정·금융정책을 내놓지 않겠느냐”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인민은행은 코로나19 확산에도 LPR을 동결했다. 이를 두고 자국의 확산세가 사실상 '종식'됐고 그 동안 수차례 통화 완화정책을 내놨다는 점을 감안한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시중 유동성이 지나치게 확대되면 통화정책의 안정성에도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는 우려다.
SCMP는 애널리스트를 인용, “인민은행이 지난주 상업은행에 대한 선별적 지급준비율을 인하하는 등 최근 조치가 경제를 도울 만큼 충분하다고 생각할 수 있다”고 보도했다.
실제 중국은 지난달 1년 만기 중기유동성지원창구(MLF) 대출 금리를 기존의 3.25%에서 3.15%로, 1년 만기 LPR는 4.15%에서 4.05%로 인하했다. 또 이달 16일에는 선별적 지급준비율 내려 시중에 5500억 위안(약 95조6000억원) 규모의 장기자금을 공급키로 했다.
모건스탠리 화신증권의 장쥔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중국의 통화 정책 조정의 전체 규모는 변하지 않을 것"이라면서 "다만 작업과 생산의 재개 과정에 따라 속도가 조정될 것”이라고 말했다고 경제매체 차이신은 밝혔다.
jjw@fnnews.com 정지우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