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이슈 물가와 GDP

​대외경제연구원, 코로나19 확산으로 한국 실질GDP 최대 1.02% 감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코로나19 확산 정도에 따라 한국의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최대 1% 이상 감소할 것으로 추정된다는 국책 연구기관의 분석이 나왔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13일 '코로나19의 국제적 확산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서 코로나19의 국가별 거시경제적 영향에 대한 시나리오 분석 결과 국내 GDP 성장률이 0.51~1.02% 감소할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KIEP은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노동 공급의 감소, 소비심리 위축, 무역비용 증가 등을 고려하면서 코로나19의 확산 정도에 따라 △위험도 낮음(감염률 10%, 노동가능인구 치사율 0.75%) △위험도 높음(감염률 20%, 노동가능인구 치사율 1%) 두 가지 시나리오를 가정해 실질GDP 감소 효과를 계산했다.

그 결과 세계 실질GDP는 0.57~1.13% 감소할 것으로 추정됐으며, 코로나19가 처음 발생한 중국의 실질GDP는 0.91~2.03% 감소할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의 주요 교역 대상국을 보면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은 0.67~1.28%, 일본은 0.38~0.74%, 미국은 0.36~0.72%, 유럽연합(EU)은 0.54~0.95%가 각각 감소할 것으로 추정됐다.

보고서는 코로나19 확산 시 상품 수출에 있어서 한국은 주요국의 중간재와 자본재 수요 감소를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했다.

보고서는 미국에서 발생한 신종플루 확산 초기인 2009년 4~8월에 미국의 대(對)세계 수입이 신종플루 비유행 시기와 비교해 13.1% 줄었고, 미국의 대(對)한국 수입은 11.4% 감소했다고 밝혔다.

특히 이러한 수입 감소는 백신이 개발돼 보급되기 전까지 지속됐다. 보고서는 "신종플루 시기 미국의 경험을 고려할 때 적어도 백신 개발·보급이 완료되기 전까지는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우리나라의 수출 감소가 예상된다"고 밝혔다.

국내 경제에서는 코로나19 영향으로 소비심리가 위축되면서 음식업, 도소매업, 여행레저업, 운수창고업, 숙박업 등의 피해가 발생할 것으로 보고서는 전망했다.

반면 전자상거래를 통한 일부 상품과 서비스 거래는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보고서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를 포함한 국제기구·기관은 경제적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각국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을 촉구하고 있다"며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경제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국제적인 지원과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해외 수요 위축과 중간재 수입 차질이 장기화할 가능성을 고려해 충격에 취약한 기업과 가계에 대한 금융 지원을 포함해 다양한 형태의 사회안전망 확충이 필요하다"며 "중소기업, 소상공인, 실업자, 일시 휴직자, 저소득층 등에 대한 대상별 특화 지원 방안을 수립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코로나19에 직접적으로 민감하게 반응할 가능성이 높은 수출상품과 피해 예상 산업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며 "국내 대책 보완 차원에서는 코로나19 확산이 공급과 수요 충격을 동시에 유발하고 글로벌 가치사슬 구조를 통해 그 충격이 국경 간에 전파된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고 했다.
아주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양성모 기자 paperkiller@ajunews.com

양성모 paperkiller@ajunews.com

- Copyright ⓒ [아주경제 ajunews.com] 무단전재 배포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