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북한 김정은 위원장의 여동생 김여정이 청와대를 노골적으로 비난했습니다.
그동안 남북정상회담에도 깊숙하게 관여하면서 김 위원장의 분신 같은 역할을 했던 김여정이 이렇게 거친 말을 하면서 직접 나선 이유는 무엇일지, 안정식 북한전문기자가 짚어봤습니다.
<기자>
김여정 제1부부장 담화에는 청와대를 향한 독설이 가득 찼습니다.
북한군 타격 훈련에 강한 우려를 표명했던 청와대를 향해 저능하다, 바보스럽다, 겁먹은 개가 요란하게 짖는다 등 노골적인 조롱과 비아냥을 쏟아냈습니다.
김여정 명의 담화는 이번이 처음으로, 독자 입장을 낼 정도로 위상이 높아졌음을 시사합니다.
동시에 다름 아닌 김여정이 청와대를 겨냥했다는 점도 눈길을 끕니다.
김여정은 재작년 남북정상회담 성사 과정에서 김정은 위원장의 분신처럼 청와대를 오가며 메신저 역할을 했던 인물입니다.
[김여정/제1부부장 (2018년 2월) : 대통령께서 마음 많이 써주셔서 불편함이 없이 하루 보냈습니다. 고맙습니다.]
[김용현/동국대 북한학과 교수 : 김여정 부부장이 직접 담화를 발표한 것은 (김정은 위원장이) 지금 (남한의) 대북정책에 대한 불만을 매우 직접적으로 표현하고 싶어 하는….]
청와대는 따로 할 말이 없다고 했고, 통일부도 말을 아끼며 상호 존중을 강조했을 뿐입니다.
북한 비아냥에도 정부가 대응을 자제한 것은 남북 협력을 염두에 둔 때문으로 보이지만, 북한의 냉랭한 분위기가 다시 확인된 만큼 남북 협력이 궤도에 오르기는 쉽지 않아 보입니다.
(영상취재 : 정성화, 영상편집 : 정성훈)
안정식 기자(cs7922@sbs.co.kr)
▶ [뉴스레터] 데이터로 보는 뉴스의 맥락! 마부뉴스 구독해주세요!
▶ 코로나19 속보 한눈에 보기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북한 김정은 위원장의 여동생 김여정이 청와대를 노골적으로 비난했습니다.
그동안 남북정상회담에도 깊숙하게 관여하면서 김 위원장의 분신 같은 역할을 했던 김여정이 이렇게 거친 말을 하면서 직접 나선 이유는 무엇일지, 안정식 북한전문기자가 짚어봤습니다.
<기자>
김여정 제1부부장 담화에는 청와대를 향한 독설이 가득 찼습니다.
북한군 타격 훈련에 강한 우려를 표명했던 청와대를 향해 저능하다, 바보스럽다, 겁먹은 개가 요란하게 짖는다 등 노골적인 조롱과 비아냥을 쏟아냈습니다.
남한 정부가 동족보다 동맹을 중시해왔다는 말에서 남북 관계보다 한미 동맹을 우선시해왔다는 불만이 묻어납니다.
김여정 명의 담화는 이번이 처음으로, 독자 입장을 낼 정도로 위상이 높아졌음을 시사합니다.
동시에 다름 아닌 김여정이 청와대를 겨냥했다는 점도 눈길을 끕니다.
김여정은 재작년 남북정상회담 성사 과정에서 김정은 위원장의 분신처럼 청와대를 오가며 메신저 역할을 했던 인물입니다.
[문재인 대통령 (2018년 2월) : 어제 추웠는데 힘들지 않았습니까?]
[김여정/제1부부장 (2018년 2월) : 대통령께서 마음 많이 써주셔서 불편함이 없이 하루 보냈습니다. 고맙습니다.]
[김용현/동국대 북한학과 교수 : 김여정 부부장이 직접 담화를 발표한 것은 (김정은 위원장이) 지금 (남한의) 대북정책에 대한 불만을 매우 직접적으로 표현하고 싶어 하는….]
청와대는 따로 할 말이 없다고 했고, 통일부도 말을 아끼며 상호 존중을 강조했을 뿐입니다.
[여상기/통일부 대변인 : 따로 언급할 사항은 없습니다. 다만, 남북이 상호 존중하며 함께 노력해 나가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북한 비아냥에도 정부가 대응을 자제한 것은 남북 협력을 염두에 둔 때문으로 보이지만, 북한의 냉랭한 분위기가 다시 확인된 만큼 남북 협력이 궤도에 오르기는 쉽지 않아 보입니다.
(영상취재 : 정성화, 영상편집 : 정성훈)
안정식 기자(cs7922@sbs.co.kr)
▶ [뉴스레터] 데이터로 보는 뉴스의 맥락! 마부뉴스 구독해주세요!
▶ 코로나19 속보 한눈에 보기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