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이슈 로봇이 온다

4차산업혁명 결정체 로봇산업, 부품국산화 도전장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특허청, 로봇산업 IP협의체 출범식 및 제1차 포럼 개최

이데일리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스마트공장엑스포’ 현대로보틱스 부스에 스마트 플랫폼 제조라인이 시연되고 있다.
사진=이데일리DB

[대전=이데일리 박진환 기자] 특허청은 20일 서울사무소에서 로봇분야 기업 및 스타트업, 정부출연연구기관 등과 공동으로 로봇산업 IP협의체 출범식 및 제1차 포럼을 개최한다.

로봇산업 IP 협의체는 국내외 로봇 산업 동향 정보를 공유하고, 현장의 목소리를 지적재산권 정책에 반영하기 위해 국내 로봇분야 다출원 기업, 연구소 등을 중심으로 구성됐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세계 각국은 로봇산업 발전 정책을 주요 국가과제로 채택했으며, 특허청은 지난해 11월 지능형 로봇심사과가 포함된 융복합기술심사국을 신설하는 등 변화하는 로봇산업에 대응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로봇산업은 연간 산업용 로봇 설치대수 세계 4위, 로봇 밀도 세계 2위 등 외형적으로는 성장했지만 핵심부품은 외국산에 의존하고 있다.

지난해 국감에서도 로봇용 감속기 분야에서 일본 의존도가 높아 일본의 수출규제가 로봇용 감속기로 확대될 경우 로봇산업이 위협받을 수 있다고 지적된 바 있다.

로봇용 감속기는 모터의 속도를 줄이는 로봇핵심부품으로 인공 관절에 해당된다.

로봇용 감속기는 로봇 부품 중 가장 핵심적인 부품으로 특정 국가에 대한 수입 의존도가 높아 로봇 관련 국내 기업들의 아킬레스건으로 지목됐다.

이에 정부는 일본의 수출규제에 대응해 소재·부품·장비 경쟁력 강화를 위한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특허청은 로봇용 감속기 분야 산업·특허동향조사 사업을 실시했다.

특허청은 이날 로봇용 감속기 분야 산업·특허 동향조사 사업 결과물을 산·학·연 대표들과 공유하고, 산·학·연 대표들로부터 로봇산업 발전과 관련된 지식재산 분야의 제안들을 수렴할 예정이다.

천세창 특허청 차장은 “로봇산업은 4차 산업혁명의 결정체가 될 핵심 산업임에도 로봇산업의 부가가치를 높이는 기술개발과 이를 통한 지재권확보는 로봇분야 경쟁국에 비해 부족한 실정”이라며 “앞으로 IP협의체를 중심으로 적극적인 소통을 통해 애로사항을 해결하고, 세계 로봇 산업을 선도할 수 있는 지식재산을 창출할 수 있도록 지원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