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영향으로 수입과 해외직구 등의 전체 물량이 약 80% 가량 급감한 가운데 지난 6일 중구 인천본부세관 세관검사장이 한산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 사진=인천=이기범 기자 leekb@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코로나19에 한국 경제 전체가 감염되고 있다. 내수 경기는 곤두박질 치고 수출도 반등의 기미가 안 보인다. 1분기 마이너스 성장 가능성까지 점쳐진다.
코로나19가 바이러스 자체로는 2003년 창궐한 치사율 14%의 사스(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나 2015년 국내에서도 38명의 사망자를 낸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보다 약하다는 평이다. 하지만 한국과 중국과의 밀접도가 높아지고 중국 경제의 영향력이 커지다보니 중국발 코로나19의 공격력 역시 메르스나 사스와 비교도 못할 정도로 커졌다.
중국 우한 거주 한국 교민 수송을 위한 전세기 운항 일정이 지연된 가운데 지난달 30일 오전 인천국제공항 2터미널 전광판에 20시 45분 출발로 변경된 우한행 항공기 일정이 표시돼 있다. / 사진=인천국제공항=이기범 기자 leekb@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
중동 낙타보다 가까운 우한 박쥐
━
5년 전 메르스와 올해 코로나19의 가장 큰 차이는 발병의 근원이다. 2012년 사우디아라비아 등 중동지역 낙타에서 시작된 메르스는 국내에서 첫 확진자가 나오기까지 3년이 걸렸다. 반면 중국 우한 수산물시장의 박쥐에서 나온 코로나19 감염증이 한국에 상륙하는 데 필요한 시간은 한달에 불과했다.
중동지역과 중국이 각각 한국과 맺고 있는 인적·물적 교류의 차이도 크다. 2015년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온 관광객은 전체의 0.1%에 불과했다. 반면 중국인 관광객은 지난해 방한 관광객의 34.4%를 차지했다. 2015년 사우디아라비아에 대한 수출 비중은 1.8%에 불과했으나 지난해 대중국 수출은 25.1%였다.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 /사진=뉴시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
16년 새 덩치 커진 중국
━
코로나19처럼 중국에서 시작된 사스의 파괴력도 코로나19 정도는 아니었다. 이는 사스가 한국에 상륙한 2003년의 중국과 비교할 수 없는 현재 중국의 위상 때문이다.
2003년 당시 중국이 전세계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4%에 불과했으나 지난해 16%까지 늘었다. 미국과 함께 전세계 경제 패권을 놓고 다투는 수준까지 올라왔다. 2003년 방한한 중국인 관광객의 비중은 11%로 지난해의 3분의 1 수준이었다.
2003년에도 대중국 수출 비중은 전체의 18.1%로 1위였으나 그 규모는 357억달러에 불과했다. 지난해 대중국 수출 비중(25.1%)도 늘었지만 수출 규모 자체가 1337억달러로 4배 가까이 늘었다. 한국 수출의 중국 의존도가 사스 사태 당시보다 높아지다보니 중국 경제의 기침이 한국 경제의 중병으로 옮아간 셈이다.
/삽화=임종철 디자인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
공포의 감염 부추기는 SNS
━
2003년 사스, 2015년 메르스 당시보다 광범위하게 퍼진 SNS 활용도 역시 내수 경기 위축의 주범 중 하나로 꼽히고 있다. 특히 확인되지 않은 정보나 과장된 감염병 정보가 SNS에 올라오면서 많은 이들의 외부 활동을 자제하게 만들고 있다.
한 정부 관계자는 "소셜미디어의 발달로 실시간 정보가 공유되면서 감염병 확산 차단 측면에서는 도움이 되지만 오프라인 경제활동을 자제하게 만드는 부작용도 있다"며 "온라인 거래가 활성화된다 하더라도 오프라인의 위축을 완전히 상쇄할 수는 없다"고 우려했다.
민족대명절 설 연휴를 하루 앞둔 지난달 23일 오후 서울 경동시장을 찾은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 사진=강민석 기자 msphoto94@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
코로나19 경제 피해 줄일 가장 강력한 대책은 '소비'
━
이 때문에 문재인 대통령과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등이 연일 정상적인 경제활동을 독려하고 있다. 감염병 그 자체보다 공포로 인한 소비 위축이 한국 경제에 더 큰 상처를 남길 수 있기 때문이다.
홍 부총리는 19일 경제활력대책회의에서 "지금처럼 과도하게 외부활동과 이동이 위축돼 있고 투자·소비가 둔화돼 있는 상황에서는 국민들의 일상적인 소비활동 등이 가장 강력한 효력을 발휘하는 경기대책"이라고 밝혔다.
이어 "사기 진작, 조직 결속 강화를 위한 회식은 주 52시간제 적용대상인 근로시간에 해당하지 않는다"며 "저녁모임, 저녁회식 등을 통해 자영업·외식업의 어려움을 조금이라도 덜어드리는 데 힘을 보태달라"고 호소했다.
세종=최우영 기자 young@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