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121석 중 18석, 5%p 이내서 당락 갈려…'한국+새보수' 무시못해"
출발점은 '도로 새누리' 지적…안철수·'태극기'까지 확장할지 미지수
미래통합당 출범 |
(서울=연합뉴스) 홍정규 이은정 기자 = 총선을 두 달 앞두고 만들어진 미래통합당의 '핑크빛 파괴력'이 얼마나 될지, 정치권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보수진영 통합 세력인 통합당은 113석 규모로 17일 출범했다. 비례대표용 위성정당(미래한국당)까지 포함하면 118석이다. 제1당인 더불어민주당(129석)에 맞먹는 규모로 커졌다.
물론 현역 의석을 얼마나 보유했는지와 총선 결과는 필연적 관계가 아니다. 정당 지지도가 이를 대신할 척도로 여겨진다.
한국갤럽이 지난 11∼13일 만 18세 이상 1천1명을 대상으로 한 자체조사(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의 정당 지지율은 민주당 37%, 한국당 21%, 새로운보수당 3% 등의 분포를 보였다.
리얼미터가 YTN 의뢰로 지난 10∼14일 만 18세 이상 2천516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선 민주당 40%, 한국당 32%, 새보수당 4%로 나타났다. 민주당 지지율은 비슷하지만, 한국당이 갤럽 조사와 크게 차이 났다.
두 여론조사 결과만 놓고 보면, 한국당과 새보수당을 중심으로 뭉친 통합당이 다소 편차는 있지만 여전히 민주당에 뒤처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황교안, 미래통합당 최고위원들과 기념촬영 |
이에 대한 반론은 '상승효과'다. 보수가 결집했다는 메시지, 새보수당이 갖는 개혁적 이미지, 두 당의 상호보완 관계 등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상승효과를 고려하지 않은 지지율 단순 합산만으로도 통합당의 파괴력은 무시하지 못할 것이라고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김형준 교수는 진단했다.
그는 총선의 승패를 좌우할 수도권의 경우 수백∼수천표로 당락이 갈리는 경우가 많다는 점을 근거로 들었다. 2016년 총선에서 수도권 121석 중 18석(약 15%)의 1·2위 득표율 차이가 5%포인트(p) 미만이었다는 것이다.
김 교수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이 같은 이유로 유승민 의원이 3∼5%의 유권자만 움직여줘도 단순 지지율 이상의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통합의 '컨벤션 효과'와 이탈했던 지지층의 복귀를 기대하는 분위기도 감지된다. 김 교수는 "2012년 한나라당을 새누리당으로, 상징색을 파랑색에서 빨강색으로 바꾸면서 얻었던 변화의 효과를 다시 한 번 누릴 수도 있다"고 말했다.
통합당의 상승효과가 기대에 못 미치리라는 회의론도 만만치 않다. '미래'를 지향하는 통합이라지만, 사실상 탄핵 이전 과거의 새누리당에 그치고 말았다는 '도로 새누리' 프레임을 깨는 게 쉽지 않다.
축사하는 황교안 대표 |
다른 정당과 단체 등 통합당에 참여한 세력의 존재도 무시할 수 없지만, 가장 큰 비중은 역시 새누리당이 갈라졌던 한국당과 새보수당이다.
한국당 중심의 지도체제도 벗어나지 못했다. 물론 통합당 출범에 관여했던 한 의원은 "총선이 얼마 남지 않은 시점이라 황 대표 체제는 불가피한 선택이었다. 총선 직후 개편이 이뤄질 것"이라고 했다.
비슷한 맥락에서 통합당의 한계로 지목되는 게 '소통합'에 그쳤다는 점이다. 통합당의 산파 역할을 자임했던 혁신통합추진위원회는 애초 '대통합'을 외쳤고, 한국당도 이에 호응했지만, 결과적으로 통합의 범위는 기대했던 만큼 넓지 못하다.
중도진영, 그리고 '태극기 세력'까지 포섭해야 대통합으로 불릴 수 있다. 문제는 이 같은 '대통합 빅텐트'가 상대방과 함께하기 어려운 이념적 지형까지 아우르려는 데 있다.
중도진영에선 당장의 지지율과 무관하게 안철수 전 의원의 국민의당이 상징적 존재다. 태극기 세력은 우리공화당이나 자유통일당이 대표적이다. 이들 정당이 통합당과 과연 '2차 통합'을 이룰지는 미지수다.
김형준 교수는 "유승민 의원과 함께하는 순간, 우리공화당 등과의 통합 카드는 미련 없이 버린 것"이라며 "국민의당과는 통합 대신 선거연대나 후보 단일화를 모색할 가능성이 크다"고 예상했다.
zheng@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