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박원순 "메르스 당시 박근혜 정부 무능 낱낱이 증언 가능"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YTN


박원순 서울시장은 10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에 대한 현 정부의 대응이 과거 메르스 사태 당시 박근혜 정부보다 낫다고 주장했다.

박 시장은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정치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감염병 대처도 다르다'라는 제목으로 글을 올렸다.

박 시장은 "며칠 전, 문재인 대통령님과 함께 성동구의 선별진료소를 방문했다"라며 "그 자리에서 저는 '메르스 때 경험과 학습효과가 있어서 훨씬 더 잘하고 있다', '과거 정부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라고 했다. 사실이다"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2015년 메르스 사태 때 어떤 일이 있었는지, 당시 박근혜 정부가 얼마나 무능했었는지 누구보다도 낱낱이 증언할 수 있다"라며 "메르스 첫 확진 환자가 나온 지 6일 후에야 대통령 대면보고가 이뤄졌던 사실, 메르스로 감염된 병원을 투명하게 공개하지 않으려고 했던 사실, 늑장 대처로 많은 확진자를 발생시키고 사망자를 키웠으면서도 당시 황교안 총리는 '초동 단계에서 한두 명의 환자가 생겼다고 장관이나 총리가 나설 수는 없다'고 말했던 사실을 똑똑히 기억한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박 시장은 "우리는 지난 메르스 사태를 통해 큰 교훈을 얻었다. 현장의 목소리에 귀기울이지 않는 무능한 정부가, 투명하게 공개되지 않는 정보가, 늑장 대처가 감염병 대응에 얼마나 치명적인지, 국민들에게 얼마나 큰 시련과 고통을 주는지 절감했다"라고 적었다.

박 시장은 또 "메르스 때보다 잘한다"는 자신의 발언에 대해 '감염병을 앞에 두고 정치한다'고 비난한 한 언론의 사설을 언급하며 "WHO의 권고도 무시한 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를 우한 폐렴이라 부르기를 고집하면서 사설은 메르스 때와 비교하는 것이 부질없다는 어이없는 논리를 펼친다"라며 "누가 더 감염병을 정치적으로 이용하고 싶은 것인가"라고 반박했다.

끝으로 박 시장은 "불안과 공포를 자극해 혐오를 부추기고 정쟁에만 관심을 쏟는 일부 야당과 언론의 태도는 사회 분열만 시킬 뿐"이라며 "감염병 확산 방지에 진보와 보수, 중앙과 지방정부가 따로 있겠나"라고 했다.

다음은 박 시장의 페이스북 글 전문이다.

"정치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감염병 대처도 다릅니다"

며칠전, 문재인대통령님과 함께 성동구의 선별진료소를 방문했습니다.
그 자리에서 저는 "메르스때 경험과 학습효과가 있어서 훨씬 더 잘하고 있다.", "과거 정부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라고 했습니다.

사실입니다.
2015년 메르스 사태때 어떤 일이 있었는지, 당시 박근혜 정부가 얼마나 무능했었는지 누구보다도 낱낱이 증언할 수 있습니다.

메르스 첫 확진 환자가 나온 지 6일 후에야 대통령 대면보고가 이뤄졌던 사실,
메르스로 감염된 병원을 투명하게 공개하지 않으려고 했던 사실,
늑장대처로 많은 확진자를 발생시키고 사망자를 키웠으면서도 당시 황교안 총리는
"초동 단계에서 한두명의 환자가 생겼다고 장관이나 총리가 나설 수는 없다"고 말했던 사실을 똑똑히 기억합니다.

그러면서 우리는 지난 메르스 사태를 통해 큰 교훈을 얻었습니다.
현장의 목소리에 귀기울이지 않는 무능한 정부가,
투명하게 공개되지 않는 정보가, 늑장대처가 감염병 대응에 얼마나 치명적인지,
국민들에게 얼마나 큰 시련과 고통을 주는지 절감했습니다.

그리고 5년만에 닥친 이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사태에 직면했을 때, 과거의 경험을 토대로 정부와 지자체는 첫 확진자 발생 순간부터 신속하고 긴밀하게 소통하고 협력하며 감염병에 선제적으로 대처해 나가고 있습니다. 국민들께서도 적극적으로 예방수칙을 따르며 지역사회 감염을 막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서울시가 보기에 부족한 것을 중앙정부에 즉각 요청하명 그대로 반영되고 있습니다.
과거 메르스 때와는 비교할 수 없을만큼 달라졌습니다.

그런데 조선일보는 사설에서 제 발언을 두고 감염병 앞에서 정치한다느니 비난했습니다.
WHO의 권고도 무시한 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를 우한폐렴이라 부르기를 고집하면서 사설은 메르스때와 비교하는 것이 부질없다는 어이없는 논리를 펼칩니다.

그렇다면 조선일보는 메르스 사태 당시 어떻게 보도했을까요?

'사실 메르스를 지금과 같은 '괴물'로 키워온 것은 바로 우리 자신'
'SNS에 퍼지는 유언비어에 휘둘리면 더 큰 피해를 부를 수 있다'

당시 무능하고 불통의 정부 책임을 묻는 날카로운 기사는 없고, 감염병 확산을 개인의 탓으로 돌렸습니다. 그러면서 정치공방보다 위기극복을 위해 하나가 돼야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묻고싶습니다.
그때는 온 국민이 함께 국난을 극복하자 하더니, 왜 지금은 그런 기사를, 사설을 쓰지 않습니까? 그때는 되고, 지금은 왜 안됩니까?
도대체 누가 더 감염병을 정치적으로 이용하고 싶어하는 걸까요?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볼모로 삼아 불안과 공포를 자극해 혐오를 부추기며 정쟁으로 삼는 데에만 관심을 쏟는 일부 야당과 일부 언론의 태도는 사회를 분열만 시킬 뿐입니다.

지금 감염병 확산을 막기 위해 총력을 다해야 하는 시점에 어떻게 진보와 보수, 여야,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따로 있겠습니까?
조선일보가 5년전, 사설에 썼던 시의적절한 제목이 하나 있습니다.

'한국인의 위기극복 DNA 다시 한번 모을 때다'

지금이 바로 그런 때입니다.

YTN PLUS 이은비 기자
(eunbi@ytnplus.co.kr)

[저작권자(c) YTN & YTN PLU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대한민국 24시간 뉴스 채널 YTN 생방송보기
▶ 네이버에서 YTN 뉴스 채널 구독하기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