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27 (금)

이슈 청와대와 주요이슈

중국을 멀리할수도 가까이할수도…고민에 빠진 靑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신종 코로나 공포, '중국인 입국금지' 청와대 청원으로…올해 시진핑 주석 방한 등 중요 일정, 文대통령 외교·경제 구상 변수

[아시아경제 류정민 기자, 김봉기 기자] 청와대가 여론의 '강경기류' 앞에서 장고(長考)를 이어가고 있다. 29일 오전 9시 현재 '중국인 입국금지' 청와대 청원에 동의한 이는 56만8000명을 넘어섰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우한폐렴)' 공포와 관련해 문재인 정부의 강경 대응을 주문하는 목소리다.


이는 '반중 여론' 확산으로 이어지고 있다. 한국동물보호연합은 이날 서울 중구 주한 중국대사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앞으로 (중국의) 야생동물 식용을 막지 않으면 신종 바이러스 출현이 끊이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중국인들을 기피하는 '중국인 포비아'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자유대한호국단은 이날 청와대 사랑채 앞에서 "치명적인 우한폐렴의 국내 확산 방지를 위해 중국인 관광객 입국을 금지하는 대통령 긴급재정경제명령을 발동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시아경제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야당을 중심으로 정치권에서도 더욱 강경한 대응을 주문하는 목소리가 이어지고 있다. 대한의사협회장을 지낸 신상진 자유한국당 의원은 29일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중국인 입국 금지는 사실 좀 늦은 감이 있다"고 지적했다.


부상일 한국당 제주시을 지역구 예비후보는 28일 국회 정론관 기자회견에서 "제주도 입국자 중에 단 1명의 감염환자가 발생하는 것만으로도 제주도는 위기와 공포의 섬이 될 수 있다"면서 '무사증 입국자'에 대한 입국 제한을 요구했다. 정부 당국이 중국 관광객을 통한 신종 코로나 감염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주문이다.


이와 관련해 문재인 대통령의 고민이 깊어질 수밖에 없는 이유는 '2020년 중국 프로젝트'와 무관하지 않다. 중국 지렛대 전략을 통해 외교와 경제의 가시밭길을 돌파하겠다는 구상이다. 중국 주변국이 입국금지 등 초강수를 둔다고 해도 우리 정부는 신중하게 대응할 수밖에 없는 이유다.


아시아경제

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인 '우한 폐렴' 공포가 확산되고 있는 28일 경기 성남 분당서울대학교병원에서 선별진료소가 운영되고 있다./성남=강진형 기자aymsdrea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중 정부는 올해 상반기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방한을 위해 실무 준비를 이어가고 있다. 리커창 중국 총리의 방한도 올해 예정돼 있다. 정부는 시 주석 방한이 '한한령(限韓令)' 완화로 이어질 것이란 기대감을 감추지 않고 있다. 남북관계 개선을 위한 문 대통령의 적극적 역할론이 탄력을 받으려면 중국의 측면 지원이 중요하다. 올해 문재인 정부가 중점을 두고 있는 과제인 '신북방정책'도 마찬가지다.


중국이 국가적 위기를 경험하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이 자국 이익을 앞세우며 냉정한 선택을 하는 것은 말처럼 쉬운 일이 아니다. 청와대가 시 주석 생일 축하 메시지에 대한 문 대통령의 답신을 공개한 것은 주목할 부분이다. 한정우 청와대 부대변인은 "중국 정부의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대응 노력을 평가하고, 조속한 수습을 기원하며 우리 정부도 필요한 지원과 협력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는 문 대통령 메시지를 공개했다.


청와대는 중국인 입국 금지 요구와 관련해 세계보건기구(WHO) 대응 등을 고려해 대응 방향을 설정할 방침이다. WHO가 중국인 입국 금지와 같은 해법을 내놓을 가능성은 현재로서는 크지 않다.


다만 신종 코로나 감염증을 통한 사망자가 계속 늘어나는 상황에서 청와대가 원론적 답변으로 강경 여론을 무마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중국인 입국 금지 청원에 대한 청와대 답변이 예상보다 빠르게 나올 수도 있다는 얘기다.



류정민 기자 jmryu@asiae.co.kr
김봉기 기자 superche@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