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은 이번 사건을 단순한 해프닝 정도로 여겨서는 곤란하다. 원 씨는 여태껏 당이 발표한 영입인재 가운데 유일한 20대였다. 남성 자격으로는 영입 1호에 20대 연령이 가진 상징성은 무척 큰 것이다. 조국 정국을 지나며 공정의 가치를 중시하는 청년들에게 실망을 줘 지지를 많이 잃은 당으로서는 또 한 번 뼈아픈 실책을 반복했다고 보고 사안을 무겁게 받아들여야 한다. 자기 같은 20대 청년 등 이 사회의 소수와 약자들과 누가 함께해주겠느냐고 했던 원 씨의 호기로운 출사표에 기대를 가졌음 직한 유권자들을 떠올리면 당은 통렬하게 반성하고 경각심을 끌어올려야 마땅하다. 한계가 있는 것은 분명하지만 인재 영입에서 평판 조회 등 검증을 보강하는 것도 필요하다. 도드라진 이력과 색다른 경력을 가진 전문가나 직업인에게만 집착하는 것은 아닌지도 되돌아볼 일이다. 다른 무엇보다 복잡다기한 사회 현안을 균형감 있게 이해하고 갈등을 조정하는 데 탁월한 역량을 보이거나 리더십을 발휘한 인재들에 주목하길 바란다. 여러 분야를 상징하는 이들로 영입 이벤트를 선보이려 한 노력 이상으로 분야별, 연령대별 정책 대안을 마련하고 정책 효과를 설명하려는 이벤트에도 박차를 가하길 기대한다.
선거에 임박한 이벤트식 인재영입 논란은 어제오늘의 일도 아니고 비단 민주당만의 문제도 아니다. 그런데도 선거철만 되면 그런 행태가 되풀이되는 것은 정당의 혁신을 재촉하는 수요에 맞춘 보여주기가 필요한데 평소 축적한 성과는 별로 없어서다. 물론 유권자들의 눈높이와 정치문화를 고려할 때 최근 각 당이 하는 인재영입 작업이 총선에서 무슨 대단한 효험을 내리라고 예상하기는 힘들다. 그렇지만 이왕 하는 인재영입이라면 장기적 안목을 가지고 정치를 본업으로 삼을 만한 자질과 능력을 겸비한 인물들을 찾아내고 육성하는 데 당의 자원과 시스템이 전력 동원돼야 할 것이다. 당에서 오랜 세월 정책을 고민하고 갈등을 다뤄 온 당료를 배척하는가 하면, 지방자치단체 의회에서부터 잔뼈가 굵은 풀뿌리 정치인을 외면한 채 반짝스타 전문가나 청와대 비서 출신들만 우대하면서 정당의 안정적 발전을 희망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단단한 널빤지를 천천히 그리고 강하게 뚫는 작업에 비유되곤 하는 정치는 한때의 성공 신화에 취해 외곬의 생각에 빠지기 일쑤인 특정 분야 전문인보다 객관적 열정, 책임감, 거리를 두는 균형감각을 가지고 폭넓은 사회 의제를 대하며 정치적 해법을 자주 고민해본 이들의 몫이 되는 것이 훨씬 국민들에게 이롭다.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