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출처=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아시아경제 이지은 기자] 중도보수의 통합을 이끄는 박형준 혁신통합추진위(혁통위) 위원장이 "안철수계 의원들 중 통합 참여를 희망하는 이들이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안철수 전 바른미래당 의원의 통합 참여에 대해서는 좀 더 지켜봐야 한다며 말을 아꼈다.
박 위원장은 28일 BBS라디오 '이상휘의 아침채널'에서 안철수계 핵심 인사들의 혁통위 합류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일부 인사들이 참여를 결정할 가능성이 높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안 전 의원과 정치를 같이 했던 분들 가운데 상당수가 참여를 희망을 하고 있다"며 "타진을 저희가 하고 있고 요청도 드리고 있다. 계속 확장해 나가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단 안 전 의원의 참여 가능성에 대해서는 말을 아꼈다. 박 위원장은 "지금 당장은 그분이 선을 긋고 있기 때문에 지금 만나는 것은 서로 큰 도움은 안 된다"며 "(합류 가능성은) 가늠하기가 힘들고 앞으로 한 열흘 간 지켜보는 게 필요하지 않을까 싶다"고 말했다.
보수 통합에 있어 안 전 의원이 상징적 역할을 할 수 있다고도 강조했다. 박 위원장은 "통합이 완벽하게 될 수는 없지만 이 정권 심판을 위해 어떤 정치세력이 구심이 돼야 되고, 정권 심판을 바라는 많은 국민들이 기존의 보수 야당에 대해서 지지하기를 꺼려하는 분들도 많이 있다"며 "그런 분들이 새로운 선택을 할 수 있는 계기와 명분을 주는 게 매우 중요하다는 점에서 안 전 의원 개인이 중요한 게 아니라 그가 상징하는 우리가 확장을 하겠다는 그런 의지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박 위원장은 "지금 어느 범위에서 통합이 이루어지느냐 하는 문제만 남았지 통합 신당으로 가는 열차는 이미 출발했다"며 "일이 순조롭게 이루어진다면 내달 중순에는 새로운 중도와 보수를 상징하는 통합 신당이 빛을 보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통합에 있어서의 큰 장애물로 자기 주장만 내세우는 풍토를 꼽기도 했다. 박 위원장은 "이전에 좌파 쪽에서 이게 내 주장만 옳다는 생각도 내 생각과 맞지 않으면 낙인찍고 비난하는 풍토가 있었지만 우파 쪽에서도 이런 것들이 상당히 있구나 하는 걸 느꼈다"며 "가장 중요하고 지금 시급한 일이 무엇이냐를 따지는 게 중요한데, 중요한 일은 나라 바로잡는 일이고 시급한 일은 총선이다. 우파가 됐든 중도 우파가 됐든 해야 할 일의 가장 우선순위가 높은 것은 총선에서 정권 심판을 통해서 헌정 질서가 흔들리고 나라가 엉뚱한 방향으로 가는 것을 바로잡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합당보다는 통합 선대위 체제로 가자는 아이디어가 나오고 있는 데 대해서는 "혁통위에서 선대위나 선거 연대 전술로 이 문제를 풀자는 논의를 한 번도 한 적이 없다"며 "저희의 일관된 목표는 통합 신당을 만드는 것이고 그 통합 신당이 중도와 보수를 아우르는 정치적 상징성을 획득을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설 민심도 통합으로 쏠려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정권의 검찰 손보기와 수사 방해를 보면서 이 정도일 줄은 몰랐다는 여론이 비등했다는 민심을 전달받았다"며 "이 정권을 심판하기 위해서 통합을 바라는 민심이 보수와 중도층 국민들에게는 상당히 압도적이었다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최근 여론조사에서 통합신당 출범시 지지율이 한국당 지지율보다 낮게 나올 수 있다는 결과가 나온 데 대해서는 "여론조사가 상당히 튀는 여론조사"라며 "다른 조사들과 배치되는 결과다. 예를 들어서 KBS 조사에 따르면 보수와 중도층에서 통합을 해야 한다는 비중이 73%와 60%로 압도적으로 높고, 보수와 중도층에서는 압도적인 다수가 통합을 지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민주당과 한국당의 총선 준비가 차이난다는 지적에는 "역대 총선을 보더라도 여당 공천보다 야당 공천이 늦는 것이 자연스러운 일"이라며 "중요한 것은 통합의 정신을 살리면서 국민의 속을 후련하게 하는 공천을 얼마나 할 수 있느냐, 또 이기는 공천을 얼마나 할 수 있느냐가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이지은 기자 leezn@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