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6 (화)

이슈 정치권 보수 진영 통합

지난해 이산가족 사망자 8만명 첫 돌파… 10명 중 8명이 70세 이상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남측 신청자 중 39%만 생존… 민간차원 교류마저 ‘뚝’
한국일보

설날인 25일 경기도 파주시 임진각 망배단에서 열린 합동망향제에서 실향민 가족들을 위한 의자가 비어 있다. 통일부와 대한적십자사(한적)에 따르면 이산가족 전체의 63.4%가 80세 이상의 고령자이며, 고령화로 연간 사망자는 매년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산( 散)의 한을 끝내 풀지 못하고 눈을 감은 이들의 수가 지난해 처음으로 8만명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통일부와 대한적십자사가 공동 운영하는 이산가족정보통합시스템에 따르면, 1988년부터 지난해 말까지 등록된 이산가족 상봉 신청자 중 사망자는 8만640명으로 집계됐다.

작년 한 해에만 3,400여명이 세상을 떠나며 사망자 수가 8만명을 돌파한 것이다. 이는 전체 상봉 신청자(13만3,370명)의 약 60.5%에 해당한다. 반면 같은 기간 생존자는 5만2,730명(39.5 )에 그쳤다. 10명 중 4명이 채 안 되는 셈이다.

사망자수가 생존자를 한참 앞지른 것은 그만큼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말 기준 이산가족정보통합시스템에 등록된 상봉 신청자의 연령대를 보면 △80∼89세 2만1,340명(40.5 ) △90세 이상 1만1,978명(22.7 ) △70∼79세 1만1,713명(22.2 ) 순으로 많았다. 10명 중 8명 이상이 70대 이상이다. 이밖에 60∼69세가 4,308명(8.2 ), 59세 이하는 3,391명(6.4 )으로 집계됐다.
한국일보

김연철 통일부 장관이 설날인 25일 경기도 파주시 임진각 망배단에서 열린 합동망향제에서 인사말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특히 지난해의 경우 하노이 2차 북미 정상회담 결렬 이후 남북 소강국면이 이어지며 그나마 근근이 이어지던 민간차원의 이산가족 교류마저 급감했다. 민간차원 교류는 2018년 45건(생사확인 7건ㆍ서신교환 36건ㆍ기타 1건ㆍ상봉 1건)에서 지난해 19건(생사확인 2건ㆍ서신교환 16건ㆍ상봉 1건)으로 감소했다.

김연철 통일부 장관은 지난 25일 이산가족들을 만나 “어르신들께서 북한을 방문하시고 정부가 그 비용을 지원해드리는 방법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 장관은 이산가족 문제해결을 위한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며, “대면상봉은 물론 생사확인, 화상상봉과 영상편지 교환, 면회소 개보수를 통한 상시상봉까지 할 수 있는 모든 방안을 총동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통일부는 향후 이산가족 교류에 대비한 가족관계 확인 등의 절차에 대응하기 위해 올해 남측 신청자 중 6,482명에 대한 유전자 검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이산가족 유전자 검사는 2013년 이산가족법 및 시행령 계정을 계기로 이듬해부터 시작된 사업으로, 2014∼2019년 총 2만4,123명에 대한 검사가 이뤄졌다.

박준석 기자 pjs@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