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태안 천리포수목원 역사 영구 보관한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천리포수목원의 식물 족보를 보존합니다”

사립수목원 가운데 국내외 주목을 받아온 충남 태안 천리포수목원이 최근 에코힐링센터 안에 기록보관실을 문 열었다.
서울신문

천리포수목원의 설경. 천리포수목원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보관실에는 1970년대 수목원 기상데이터 기록과 함께 조성 초부터 50년 역사가 담긴 수목원 내 식물의 족보 등이 영구 보관된다. 36개국으로부터 받은 종자 자료도 있다. 840종에 이르는 목련 등 1만 6700종의 희귀 또는 가치 있는 식물이 기록으로도 담겨 전수되는 것이다. 기록보관실은 습도와 온도, 보안 등 기록물을 훼손할 수 있는 여러가지 원인을 최소화해 만들어졌다.

또 식물기록팀 사무실을 따로 마련해 수목원에서 나오는 일반문서, 해외기록물, 도면, 식물카드, 시청각자료 등을 보존하는 일에 전력하도록 했다. 이들은 본연의 기능인 식물유전자원 수집, 식재기록 등 전반적인 역사를 기록하는 것에도 힘을 쏟는다.
서울신문

겨울철 천리포수목원 모습. 천리포수목원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국인으로 귀화한 고 민병갈(Carl Ferris Miller·1921~2002) 원장이 1970년부터 나무를 심기 시작해 조성한 천리포수목원은 목련 뿐 아니라 동백나무 945 종, 호랑가시나무 530 종, 무궁화 324 종, 단풍나무 251 종 등이 자라 식물학적 가치가 매우 높다. 수목원을 산책하며 탁 트인 바다, 고운 모래가 깔린 바닷가, 아름다운 낙조를 볼 수 있고 아늑한 분위기도 느낄 수 있다.

고 민 원장의 개인 수목원이던 이곳은 2009년 3월 일반에 개방됐고, 유료에도 지난해 25만여명이 찾을 정도로 인기가 높다.

김용식 원장은 “표본실, 도서관에 이어 기록보관실을 갖춘 것은 사립수목원으로서 큰 의미가 있다”며 “앞으로는 가치 있는 기록물을 디지털화한 뒤 체계적으로 관리해 일반인도 볼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태안 이천열 기자 sky@seoul.co.kr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