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부업하는 가장들 47만명…"고용의 질 떨어졌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사진 출처 = 연합 뉴스]


부업을 선택한 취업자와 가구주가 지난 2019년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 2003년 통계 작성 이후 최대 수준이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자유한국당 추경호 의원실이 24일 통계청 고용동향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 2019년 월평균 부업자는 전년보다 4만명가량 늘어난 47만3000명이었다.

증가율은 9.3%로 10.0%를 기록한 지난 2010년 이후 9년 만에 최고였다.

세계 금융위기 여파로 부업자가 지난 2009년과 2010년엔 각각 전년 대비 23.8%, 10.0% 급증했으나 지난 2012년 45만명으로 정점을 찍고 5년간 감소했다.

다만 지난 2017년부터 각각 41만9066명, 43만2964명, 47만3045명으로 3년째 다시 늘어난 것으로 드러났다.

취업자가 부업을 선택한 비중은 1.74%로 지난 2012년 1.81% 이후 처음으로 7년 만에 최고 수준이었다.

가정 생계를 책임지는 가장이 부업에 뛰어든 규모도 급증했다.

지난 2019년 월평균 31만235명을 기록한 가구주 부업자는 지난 2003년 통계 작성 이후 최초로 30만명을 넘어섰다.

지난 2015년 28만640명을 기록한 가구주 부업자는 지난 2016년엔 25만 2677명으로 감소했다.

이후 지난 2017년 26만7625명, 2018년 27만5378명, 2019년 31만235명으로 3년 연속 증가추세를 보였다.

지난 2019년 부업자 가운데 가구주의 비중은 65.6%로 지난 2008년(67.1%) 이후 11년 만에 최고다.

부업자 증가는 통상 취업자 증가와 관련이 있다는 게 통계청의 설명이다.

다만 지난 2019년에는 취업자가 전년 대비 1.1% 늘어나는 동안 부업자는 9.3% 증가해 단순히 취업자 증가만으로 설명하기 어렵다는 평가다.

경기 부진에 따른 고용 여건 악화, 단시간 일자리 증가 등의 맥락에서 주된 배경을 찾을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실제로 추 의원실이 '주업시간별 부업자 현황'을 분석한 결과 주업 시간이 주당 10시간 이하인 부업자는 지난 2019년 2만8320명으로 전년 대비 무려 40%(8092명)나 늘었다.

부업은 임금과 근로시간이 상대적으로 열악한 종사상 지위에서 비중이 높은 경향을 보인다.

시간 관련 추가취업가능자는 지난 2019년 대비 19.2% 증가해 75만명을 넘어섰으며 이는 관련 통계 작성을 시작한 지난 2015년 이후 최대 규모다.

시간 관련 추가 취업가능자는 전년 근로 시간이 짧은 관계로 현재보다 일을 더 하고 싶어하는 인구를 말한다.

특히 모든 연령대에서 추가취업가능자의 전년 대비 증가율이 두자릿수를 기록해 10대 16.3%, 20대 19.3%, 30대 17.3%, 40대 10.8%, 50대 16.4%, 60대 32.6% 등이다.

추경호 의원은 "정부가 국민 세금을 퍼부어 단기 일자리를 양산하고 있는데도 부업자가 급증한 것은 국민이 원하는 일자리가 제대로 공급되지 못해 전반적으로 고용의 질이 떨어지고 있음을 증명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디지털뉴스국 서주희 인턴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