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文 정부 부동산 심판대된 경기표밭....'아파트 표심'은 어디로
경기도는 21대 총선 승리의 가늠자다. 지역구 253석 중 60석이 달린 경기에서 지면 여야 어느 정당이든 총선 승리는 어렵다.
승패를 가를 핵심 변수로 '아파트 표심'이 꼽힌다. 문재인 정부 3기 신도시 조성(경기 남양주·과천·하남) 등 부동산 투기 억제정책에 대한 1300만 경기 주민의 중간 평가 성격이 강하다.
경기 신도시는 40대 이하 젊은 유권자 유입이 많다. 지난해 3040세대 6만명이 높은 서울 집값과 청약 문턱을 넘지 못하고 경기도권 아파트로 왔다. '젊은 표밭'인 만큼 보수 성향은 짙지 않지만 현 정부 부동산 정책에 강한 불만을 가진 표밭이기도 하다.
그래도 집권 여당 메리트를 무시할 수 없단 분석이 나온다. 대표적인 곳이 서수원이다. 최근 국토교통부가 신분당선 연장사업 예비타당성조사 통과를 발표하며 교통 인프라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서울 도심 접근이 어려웠던 거주민들의 표심이 집원여당에 모일 수 있다. 안양 만안구도 BRT(간선급행버스) 노선 등 교통호재가 있다.
▷역대 성적표는?
2016년 20대 총선 결과 대다수 선거구에 '파란 깃발'이 꽂혔다. 현재 총 60석 중 △더불어민주당 37석 △자유한국당 15석 △새로운보수 2석 △우리공화당 1석 △정의당 1석 △무소속 3석(문희상‧이언주‧서청원), △공석 1(의원직상실)이다.
다만 표차는 아슬아슬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고양을(900표차), 남양주갑(249표차), 군포갑(726표차)이 1000표 이하로 당선이 갈렸다.
18대 총선에선 당시 선거판을 휩쓴 한나라당 발 '뉴타운 바람'에 따라 △한나라당 32석 △친박연대 1석 △통합민주당 17석 △무소속 1석 결과가 나왔다.
'뉴타운 돌풍'이 ‘뉴타운 역풍’으로 뒤바꾼 것이 19대 총선이다. 부동산 침체 속 △민주통합당 65석 △새누리당 43석 △통합진보당 4석으로 진보정당이 우위를 점했다.
심재철 자유한국당 의원(왼), 이재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사진=뉴스1,머니투데이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20년 터줏대감' 맞서 민주·바미·정의 총출동
경기권 최대 격전지는 안양 동안구을이다. 연달아 '5선'을 한 심재철 한국당 의원을 상대로 ‘초선비례’ 이재정 민주당 의원이 출사표를 더졌다. 또다른 비례대표 현역의원 임재훈 바른미래당 의원, 추혜선 정의당 의원도 심 의원 아성에 도전한다.
안양동구는 1기 신도시인 평촌신도시를 품고 있다. 30년 전 아파트로 재개발 보다는 '리모델링' 수요가 강한 동네다.안양 내 지역구들 사이 유독 보수성향이 짙다.
▷무주공산 용인갑…구도심 처인구 여도야도 '개발'공약
용인갑 선거구는 이우현 자유한국당 의원이 정치자금법을 위반해 의원직을 상실하면서 공석이 됐다. 구도심인 처인구를 포함한 용인갑은 보수성향이 짙다는 평가다.
정찬민 전 용인시장이 출사표를 낸 가운데 경기도의원 출신 오세영 미주당 용인갑 지역위원장도 출마의사를 밝혔다. 두 후보다 낙후된 처인구를 개발에 방점을 찍었다.
정 전 시장은 시장 시절 '채무제로 달성', '경전철 활성화' 등 업적을 강조하며 "처인구를 잘사는 지역으로 발전시키겠다"고 했다. 오 지역위원장도 처인구 주거환경 개선과 일자리 공약을 내걸었다.
▷300 관전평
집값은 정치 이념과 연령과 더불어 선거판을 결정짓는 주요 변수 중 하나가 된 지 오래다. 뉴타운 열풍과 역풍이 승패를 좌우한 역대 총선들이 이를 증명한다.
경기도 아파트 표심을 잡기 위한 셈법은 간단치 않다. 진보성향의 30.40대 젊은층이 많지만, 투자보다는 실소유자가 대다수여서 3기 신도시로 공급이 늘어나는 것을 반기지 않는 유권자 구성이다. 집값과 더불어 교통·인프라까지 '살기 좋은 동네'를 고민하는 똑똑한 공약이 아파트 표심을 잡을 것으로 보인다.
이해진 기자 realsea@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