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9.25 (수)

세계 시장 커졌는데 국내 ESS 시장 '뒷걸음질'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늦어지는 정부 발표에 생태계 고사 위기

한시적 지원에 통합관리도 미흡…불확실성 리스크

“불안 해소하고 민간 주도로 생태계 조성토록 해야"

[이데일리 경계영 기자] +38% VS -34%, 지난 한 해 에너지저장장치(ESS) 시장 규모 성장률이다. 세계 시장은 1년 새 큰 폭으로 커진 데 비해 국내 시장은 같은 기간 외려 쪼그라들었다. 재생에너지의 전력 생산이 본격화한 이후 전기에너지를 저장했다가 필요한 때 공급해주는 ESS이 주목받고 있지만 정작 국내 ESS 생태계는 위기에 놓였다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정부가 ESS 화재사고 원인을 하루빨리 규명해 불확실성과 우려를 없애고 민간 주도로 ESS 산업이 성장할 수 있도록 생태계 조성에 힘을 보태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이데일리

단위=GWh, 자료=SNE리서치


◇잇단 화재사고에 우려 커졌지만…2차 조사위 발표 ‘아직’

현대경제연구원이 22일 발표한 ‘국내 ESS 산업 생태계의 위기’ 보고서를 보면 국내 ESS 시장 규모는 지난해 3.7GWh로 1년 전 5.6GWh보다 외려 33.9% 감소했다. 같은 기간 세계 ESS 시장은 2018년 11.6GWh에서 지난해 16GWh로 37.9% 증가했다.

‘제2 반도체’ 배터리 분야에서도 핵심으로 꼽히는 ESS의 생태계가 위기를 맞은 배경엔 2017년 8월부터 지난해 10월까지 잇따라 발생한 화재사고 28건이 있었다. 신재생에너지 연계용 ESS에서 발생한 화재가 22건으로 가장 많았고 피크제어 4건, 주파수 조정 2건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제조사는 LG화학(051910) 15건·삼성SDI(006400) 10건·기타 3건 등이었다.

이에 정부는 ‘민·관 합동 ESS 화재사고 원인조사 위원회’를 구성해 지난해 6월 ‘ESS 사고원인 조사결과 및 안전강화 대책’을 발표했지만 그 이후에도 화재사고 5건이 추가로 발생하며 다시 꾸려진 조사위가 2차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장우석 현대경제연구원 신성장연구실 연구위원은 “명확한 화재 원인 규명이 지연되면서 국내 시장에서 감축운전 요청에 따른 보상액 지불, 자체 소방설비 투자 등 추가 비용이 발생할 뿐 아니라 ESS 배터리 제조사가 수출하는 데 부정적 영향을 주고 있다”고 지적했다.

시장 규모 역시 쪼그라들며 일감 감소에 관련 업체도 위기에 직면했다. 국내 ESS 관련 업체로는 △제조에서 LG화학, 삼성SDI 등이 △시공에서 두산중공업, SK TNS, LG CNS, 네모 ENG 등이 △운영에서 SK D&D, SK E&S, LG헬로비전 등이 각각 포진해있다.

이데일리

(자료=현대경제연구원)


◇보급 성과에 급급…“민간 주도로 생태계 조성해야”

연구원은 ESS 분야에서의 문제로 일정 기간 안에 설치해야 인센티브를 준다는 식의 정부 지원 정책을 꼽았다. 기술개발과 충분한 테스트 등 안전 문제를 채 준비하지 못하고 짧은 시간 안에 설치를 늘리다보니 공사품질이 떨어질 수밖에 없었다는 얘기다. ESS 내 개별 부품을 시험·인증하곤 있지만 이들 부품이 통합된 ESS 자체를 시험·인증하지 않는 등 미비한 통합 관리체계 역시 문제로 지적됐다.

장우석 연구위원은 “정부가 ESS에 대한 국민 불안을 해소하고 시장 신뢰를 회복할 수 있도록 발화 원인 명확하게 규명하는 것이 우선”이라면서도 “정부가 일관되고 지속적 정책을 추진할 수 있는 컨트롤타워를 구성하는 동시에 정책적으로 투자 유인을 이끌 정책을 내놔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ESS 산업을 중장기적으로 키우려면 규제 혁신 방향에 맞춰 ‘포괄적 네거티브 규제’ ‘민간 자율규제’로 전환하고 공공 테스트베드를 구축해 민간 기술력 검증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며 “ESS 산업의 정책적 다양성을 추구하고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기술경쟁력을 고도화하는 연구개발에도 주력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