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3 (일)

현금입출금기 설치 수 1위는 은행 아닌 편의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편의점 ATM기 증가하면서 은행 보유 대수 역전

편의점은 ATM 이용객 모객 효과, 은행은 비용절감 효과

줄어드는 은행 무인화 점포 메워줄 대안으로 부상

[이데일리 김유성 기자] “저는 주로 편의점에서 현금 인출합니다.” 32살 박인구(가명)씨는 카카오뱅크 계좌에서 현금을 인출할 때마다 인근 편의점을 찾는다. 편의점에 있는 공동 ATM(현금자동입출금기)를 이용하기 때문이다.

편의점이 동네 금융 허브로 떠올랐다. 은행의 자체 ATM의 숫자가 줄어들고 있지만, 그 자리를 편의점에 있는 공용 ATM이 빠르게 메우고 있다. 최근 수년간 편의점 내 ATM 수가 꾸준히 늘어나면서 선두 편의점 업체들은 웬만한 시중은행보다 ATM 수가 많아졌다.

이데일리

편의점 외부에 있는 은행공용 ATM (이데일리DB)


은행보다 많아진 편의점 ATM

21일 은행 업계에 따르면 2019년말 기준 시중 5개 은행 전체 ATM 수는 3만467개다. 2017년말(3만4226개)보다 10.98% 감소했다.

ATM 숫자를 절반 이하로 줄인 은행도 있다. 한국씨티은행이다. 씨티은행은 2017년 상반기까지 435개의 ATM기를 운영했지만, 지난해 상반기 기준으로 174개로 ATM 수를 대폭 줄였다.

은행업계 관계자는 “출금을 제외한 송금 등의 서비스가 대부분 모바일 서비스로도 구현되면서 은행 ATM을 사용하는 빈도 자체가 줄어드는 것은 불가피한 결과”라고 말했다.

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동훈 기자]


은행 ATM이 감소하는 사이 편의점 ATM은 급증하는 추세다. 작년 말 기준으로 편의점 선두 3개 기업인 GS리테일, CU, 세븐일레븐의 전체 ATM 수는 2만8770개다. 이는 시중은행 빅3인 KB국민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을 합친 2만636개보다 많은 수준이다.

특히 매장 수 기준 국내 편의점 업계 1위인 GS25의 ATM 수는 1만1776개다. 한해 전보다 8.27% 급증했다. 이미 GS25의 ATM 숫자가 국민은행이나 신한은행 보유 ATM 수보다 더 많아졌다.

ATM을 갖춘 GS25 편의점 비율도 늘어나는 추세다. 2017년 80.08%였던 ATM 보유 GS25 편의점 비율은 지난해 84.73%로 늘었다.

편의점 2위 업체인 CU도 매해 10% 가까이 ATM이 늘리고 있다. 2017년 약 8800개였던 CU의 ATM은 지난해 1만1000개로 증가하며 GS25에 근접한 수준이다. 6000개 정도의 ATM을 보유하고 있는 세븐일레븐도 매년 ATM을 늘리고 있다.

은행은 비용절감-편의점은 고객 유입 ‘윈윈’

편의점의 ATM 확장은 은행과의 제휴 관계가 깊어진 결과다. 이미 GS25는 신한, KB국민, 우리, 광주, 저축은행중앙회, SC제일은행, 케이뱅크, 카카오뱅크 이용고객의 출금 수수료를 면제하고 있다. CU는 카카오뱅크와 대구은행, 유안타증권에 수수료 무료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세븐일레븐의 경우 KB국민은행, 카카오뱅크, BNK부산은행, BNK경남은행, 씨티은행, 유안타증권, SK증권, KB증권, 롯데카드, 제주은행, 롯데캐피탈, 삼성증권 등 총 12곳의 금융기관 고객에게 수수료 면제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은행은 편의점과의 제휴를 늘리면 ATM 유지비용을 줄일 수 있다. 편의점도 이를 반긴다. 편의점은 ATM 이용객이 편의점을 찾을 때마다 추가 구매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은행은 수수료 인하나 면제를 통해 편의점 ATM으로 고객들을 유도하고 있다.

GS리테일 관계자는 “편의점 점주 입장에서는 고객을 끌어들일 수 있고, 은행도 별도의 ATM을 운영하는데 필요한 임대료 등의 비용을 아낄 수 있어 편의점과 은행 모두 윈윈 전략”이라고 말했다. GS리테일 관계자는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ATM 보유 매장 수를 늘려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편의점 업계 관계자는 “편의점이 점차 동네 금융 허브가 되는 분위기”라면서 “은행과의 협력 관계를 더 확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