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9.25 (수)

[생생확대경]美 CES가 던진 韓 스타트업 규제완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데일리

세계 최대 가전·정보기술(IT) 전시회인 ‘CES(Consumer Electronics Show) 2020’ 개막을 하루 앞둔 6일 오후(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 만달레이베이 호텔에서 열린 현대차 미디어데이 뉴스 컨퍼런스에서 정의선 수석부회장(왼쪽 세번째)이 ‘S-A1’ 모형 앞에서 관계자들과 함께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데일리 문승관 기자] “전자기업, 자동차 회사, 이커머스 업체, 투자회사 등 너나 할 것 없이 미래 먹거리로 모빌리티 시장을 모두 노리고 있습니다. 이번 미국 CES2020에서 충격적인 것은 전 세계 인공지능(AI) 스타트업 투자를 주도하는 ‘톱 25 벤처캐피털’이 모두 패신저 이코노미에 주목하고 대규모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는 점이었죠. 하지만 한국의 벤처캐피털과 자본시장 플레이어들은 그 자리에 없었습니다.”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최근 막 내린 세계 최대 가전전시회 CES 2020을 참관한 한 벤처캐피털(VC) 대표는 모빌리티 시장의 지각 변동을 감지하고 글로벌 투자 변화가 거대한 태풍처럼 일고 있다고 평가했다. 패신저 이코노미는 이른바 자율주행이 완성된 후 운전자가 운전이 아닌 다른 소비·경제 활동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글로벌 투자회사는 물론 기업에 이르기까지 운전자가 운전하지 않는 시간에 무엇을 할지, 그 시간을 파고들 새로운 사업과 투자에 대한 고민을 얼마나 치열하게 하고 있는지 느낄 수 있었던 자리였다고 했다.

기존 모빌리티 기업뿐 아니라 다른 산업의 기업도 잇따라 모빌리티 산업에 얼굴을 내비쳤다. 당연히 경쟁은 더 치열해지고 미래 모빌리티는 한 걸음 더 가까워질 것이라는 분석이었다. 글로벌 자본시장의 투자 패턴도 이러한 기술적·사회적·생태학적 변화에 발맞춰 변화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국내 AI 투자를 촉진하려면 미국처럼 대기업과 스타트업 간 인수합병(M&A) 등을 통한 선순환 관계 형성이 시급하고 지적했다. 2000년대 초반 이스라엘은 한국 벤처 시장을 벤치마크 하겠다며 찾아왔다. 20년이 지난 현재 이스라엘은 AI스타트업 투자에서 세계 3위다.

문제는 국내 자본력이나 스타트업의 아이디어·혁신성 그 무엇도 아닌 ‘규제’다. 정부는 규제완화와 감독강화 두 마리 토끼를 다 잡아야 한다고 한다. 그러면서 민간에 적극적인 투자를 요구한다. 모순도 이런 모순이 없다. 규제완화를 외치지만 어느 수준까지 완화할지도 정한 바 없다.

한국은 대규모 자금으로 투자할 수 있는 기업 주도의 벤처캐피털(CVC)을 제한한다. AI 스타트업에 활발하게 투자하는 전 세계 ‘톱25 벤처캐피털리스트’에 한국이 없는 이유다.

이인영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지난 16일 정책조정회의에서 “디지털 혁명에 과감히 국운을 걸어야 한다”며 “훨씬 더 과감하고 공격적인 정부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정부가 경제 활성화를 위한 투자를 강조하지만 CES 현장에서 느낀 기업과 자본시장의 위기감은 상상을 뛰어넘는다. 지금처럼 해서는 경기 회복은 물론 미래 대응도 어렵다고 한다. 더 많은 투자가 몰리도록 정부와 정치권이 정책변화를 가져와야 한다고도 했다. 전문가들은 더도 말고 덜도 말고 ‘글로벌 스탠더드’로만 규제를 완화해도 글로벌 플레이어들과 동등한 조건에서 경쟁할 수 있다고 한다. 우리가 부족한 것은 기업의 기술 경쟁력이 아니라 신산업의 사업화를 뒷받침해줄 국가의 정책적 지원이다. 여당과 정치권도 말로만 ‘국운’을 논하지 말고 규제완화를 위한 법부터 풀어야 할 것이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