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KIC 출신 인재들, 금투업계 핵심 인력으로 존재감 상승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국투자공사(KIC) 출신 인력들이 여의도 금융투자업계에서 존재감을 키우고 있다. 증권사를 비롯한 금융투자업계에서 해외투자에 대한 비중과 중요성이 커진데 따른 움직임으로 풀이된다.

21일 투자은행(IB)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신한BNP파리바자산운용은 이달 6일 자로 박태형 전 KIC 상무이사를 부사장직으로 영입했다. 박 신임 부사장은 2017년부터 신한BNPP운용으로 옮기기 직전까지 KIC에서 최고투자책임자(Deputy CIO)를 역임했다. 그 전에는 JP모건과 베어스턴스자산운용, 소시에테 제네랄(SG) 등에서 커리어를 쌓았다. 박 신임 부사장은 신한BNPP운용에서 국내 운용부문을 담당하는 CIO 역할을 하게 된다.

한국투자증권도 이달 1일 자로 조직개편을 통해 글로벌신사업부를 신설하고, KIC 출신 한정희 상무보를 선임했다. KIC에서 헤지펀드섹션장을 역임했던 한 상무보는 한국투자증권에서 글로벌신사업부를 이끌며 선진시장을 타깃으로 한 신규사업 발굴과 기획을 맡게 될 예정이다.

KIC는 한국은행과 기획재정부의 외환보유고 일부를 위탁받아 글로벌금융시장에서 운용하는 국부펀드다. KIC에 따르면 2018년 말 기준으로 1316억 달러(순 자산 가치 기준, 약 154조 원)에 달한다. 이 중 1100억 달러를 전통자산에, 나머지 216억 달러는 부동산과 인프라 등 대체자산에 투자하고 있다.

이들 증권사와 운용사가 KIC 출신 인력들을 영입한 배경으로는 해외투자 확대와 무관하지 않다. 대체투자는 물론 주식 등 전통 자산 투자 부분에 있어서 해외자산 투자 비중이 커지면서 해외 투자 경험이 있는 인력의 중요성이 커지게 됐다. 이에 금융투자업계에 진입하는 KIC 인력들이 늘어나고 있다.

실제로 지난해 하반기에는 강신우 전 KIC CIO가 헤지펀드 운용사인 아하에셋자산운용(AHHA Asset Management)에 합류했고 이보다 앞서서는 지난 2017년 KIC 채권운용실장 출신인 김두영 부문장이 NH-Amundi자산운용의 글로벌투자 부문을 총괄하는 자리로 옮겼다.

KIC 출신들이 의기투합해 세운 사모펀드(PEF) 운용사도 투자업계에서 활발히 활동 중이다. 진영욱 전 한국투자공사(KIC)사장, 박제용 전 KIC 최고운용책임자(COO) 등이 주축으로 2016년 설립된 더블유더블유지(WWG)자산운용은 지난해 9월 430억 원 규모로 첫 블라인드펀드 조성을 마무리하는 등 PEF로서 입지 굳히기에 속도를 내고 있다.

한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해외 투자는 인적 네트워크와 경험이 중요하다”면서 “그렇다 보니 IB나 PEF 등 투자 영역에서 KIC 출신 인력의 니즈는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투데이/김나은 기자(better68@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Copyrightⓒ이투데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