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서울시 “눈ㆍ얼음이 물로 변하는 도로결빙 방지 신기술 도입”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투데이

자동액상살포장치(사진 = 서울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시가 눈이 오면 자동으로 도로에 제설제가 뿌려지고, 눈이나 얼음이 도로표면에 닿으면 물로 변해 결빙을 막는 도로포장 신기술을 도입된다.

21일 서울시는 “겨울철 결빙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2010년부터 상황실 근무자의 모니터링을 통해 원격으로 가동하는 액상살포장치(물로 된 제설제 살포기)를 고갯길, 지하차도, 고가차도 등 제설 취약구간에 설치해 관리해왔다”고 밝혔다.

올해부터는 인력 모니터링 대신 지능형 강설ㆍ결빙 감지 센서 기술을 적용해 눈 또는 얼음이 감지되는 즉시 액상살포장치가 가동된다.

서울시는 지난해 11월 서대문구 통일로에 지능형 감지 센서가 장착된 액상살포장치를 시험 설치해 운영 중이다. 올해 하반기 겨울철엔 44곳의 액상살포장치 모두 인력 모니터링에 의존하지 않고 스스로 작동하는 지능형 제설장치로 전환, 신규로 10곳에 추가해 연말까지 총 54곳에서 가동된다.

또한, 결빙ㆍ강설 취약 구간(306곳) 중 액상살포장치 등 현장제설 장비 설치가 곤란한 곳에는 기존 아스팔트에 얼지 않는 첨가제를 배합한 ‘결빙방지 포장’ 신기술을 도입한다. 결빙ㆍ적설 취약구간에 시범 포장하고 효과검증 후 확대할 계획이다.

김학진 서울시 안전총괄실장은 “최근 블랙 아이스로 인한 교통사고 피해가 급증함에 따라 도로제설에 혁신기술을 적극적으로 반영하는 등 안전한 도로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투데이/설경진 기자(skj78@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Copyrightⓒ이투데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